‘메르스 병원 즉시공개’ 朴 대통령 지시했으나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06-10 17:46:54
    • 카카오톡 보내기
    보건복지부 ‘늑장 공개’...병원 압력 있었나?

    [시민일보=이영란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관련, 환자들이 거쳐 간 병원 이름을 모두 공개하라고 지시했으나 보건복지부가 늑장 공개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 박 대통령은 지난 3일 메르스 대응 민관 합동 긴급점검회의에서 “병원이나 또 거기 관리자들이 조금이라도 (메르스 환자와)접촉이 있었다면 어떻게 확실하게 차단을 하느냐, 그 결과를 국민들께 정확하게 알리고 홍보를 해야 하겠다”며 정보공개를 제안했다.

    하지만 비공개 회의 때 보건복지부와 병원협회가 강하게 반대했고 결국 ‘의료진에게는 병원들을 100% 공개하고, 국민들에게는 평택성모병원만 공개하자’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마저도 즉시 공개가 이뤄지지 않았고, 평택성모병원의 이름이 공개된 건 이틀이나 지난 5일이었다.
    그러자 박 대통령은 다음 날인 6일 국무회의에서 "감염 발생 병원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감염 대상자를 찾아내고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며 사실상 직접 공개를 지시했다.

    결국 삼성서울병원 이름은 여론의 질타가 쏟아진 7일 오전에야 뒤늦게 공개됐다.

    이처럼 상당히 구체적인 박 대통령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병원공개가 신속하지 못했던 이면에 보건복지부와 병원협회의 또 다른 유착이 있었던 건 아닌지 면밀히 따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병원 측 압력을 받았을 수도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메르스비상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신상진(새누리) 의원은 10일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병원 공개가 늦어진 이유에 대해 “물론 국민의 걱정과 불안을 확산시킨다는 고려도 했겠지만 공개되지 않았으면 하는 병원 측의 입장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같은 당 김성태 의원도 메르스 확진자 발생 당일 메르스 환자가 방문했던 병·의원들을 폐쇄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지만 해당 병원의 반대 의견을 정부가 받아들여 사태 확산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