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천 경기도의원 해고노동자·유가족 지원 등 4가지 대안 제시
[수원=채종수 기자]권영천 경기도의회 의원(새누리, 건설교통위원회)이 29일 기술먹튀 논란에 이어 대량해고를 부른 이천 하이디스 사태와 관련해 경기도의 적극적 노력 등 4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대안들은 의도적인 특허권 저평가에 대한 국가 차원의 분명한 지적, 특허권의 헐값 매각 방지를 위한 금융감독원의 감독, 2008년 비오이(BOE)사와 노조가 합의한 노사합의안 존중, 해고노동자 및 유가족에 대한 경기도 차원의 지원 등이다.
권영천 의원은 이날 열린 제299회 1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5분발언을 통해 “(대만 이잉크'E-Ink'사가)인수 당시부터 손쉬운 기술 팔기를 목적으로 수지타산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 제조·생산은 포기한 것”이라며 이같이 제시했다.
그러면서 "(하이디스는)2002년 중국의 비오이(BOE)사가 2008년 대만의 이잉크사에 인수당시 대비 고용인원과 매출액이 각각 22.3%와 26.6%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하이디스 기술료 수입은 2012년 200억원에서 2014년 1200억원(예상)으로 6배 증가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권 의원은 “이를 위해 무리한 공장폐쇄까지 강행하였고, 이에 반대하는 노조를 없애겠다며 정리해고를 강행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러한 사실은 지난 검찰조사 결과 4000여건의 기술 유출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남으로써 분명하게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권 의원은 이잉크(E-Ink)사의 특허권 대여 행위가 불법이라는 증거로 ‘2008년 노사합의서’ 내용을 언급하며 "당시 이잉크(E-Ink)사는 비오이(BOE)사와 노조 간에 체결한 합의서에 있는 내용 중 ‘타법인 매각대금 재투자’와 ‘소유기술의 다른 곳으로의 매각 금지’ 조항을 문제삼아 ‘합의서 폐기’를 요구했고, 이러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노조를 없애고 정리해고와 공장폐쇄를 강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권 의원은 "각계 각층의 하이디스 사태에 대한 노력을 언급하며 경기도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외투기업의 부도덕적 행태에 대한 국가적 적극 규제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본회의장 방청석에는 이상목 하이디스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김홍일 사무국장, 위경복 국장 등 10여명이 참석해 경청했다.
한편 하이디스는 2002년 부도난 현대전자(하이닉스)를 분리 매각하는 과정에서 2003년 중국 기업 BOE그룹에 매각된 뒤 2006년 부도 처리됐다.
이 과정에서 BOE그룹은 기술을 공유한다는 명분으로 양사의 전산망을 통합해 4331건의 기술을 유출한 사실이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난 바 있다. 당시 1713명에 달하던 노동자들도 377명으로 감축됐다.
2007년 다시 대만 이잉크에 매각됐지만, 기술개발이나 설비투자가 이뤄지지 않아 특허기술만 빼간다는 '기술먹튀' 논란을 빚어왔다.
[수원=채종수 기자]권영천 경기도의회 의원(새누리, 건설교통위원회)이 29일 기술먹튀 논란에 이어 대량해고를 부른 이천 하이디스 사태와 관련해 경기도의 적극적 노력 등 4가지 대안을 제시하고 나섰다.
대안들은 의도적인 특허권 저평가에 대한 국가 차원의 분명한 지적, 특허권의 헐값 매각 방지를 위한 금융감독원의 감독, 2008년 비오이(BOE)사와 노조가 합의한 노사합의안 존중, 해고노동자 및 유가족에 대한 경기도 차원의 지원 등이다.
권영천 의원은 이날 열린 제299회 1차 정례회 본회의에서 5분발언을 통해 “(대만 이잉크'E-Ink'사가)인수 당시부터 손쉬운 기술 팔기를 목적으로 수지타산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 제조·생산은 포기한 것”이라며 이같이 제시했다.
그러면서 "(하이디스는)2002년 중국의 비오이(BOE)사가 2008년 대만의 이잉크사에 인수당시 대비 고용인원과 매출액이 각각 22.3%와 26.6%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하이디스 기술료 수입은 2012년 200억원에서 2014년 1200억원(예상)으로 6배 증가한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권 의원은 “이를 위해 무리한 공장폐쇄까지 강행하였고, 이에 반대하는 노조를 없애겠다며 정리해고를 강행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러한 사실은 지난 검찰조사 결과 4000여건의 기술 유출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남으로써 분명하게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권 의원은 이잉크(E-Ink)사의 특허권 대여 행위가 불법이라는 증거로 ‘2008년 노사합의서’ 내용을 언급하며 "당시 이잉크(E-Ink)사는 비오이(BOE)사와 노조 간에 체결한 합의서에 있는 내용 중 ‘타법인 매각대금 재투자’와 ‘소유기술의 다른 곳으로의 매각 금지’ 조항을 문제삼아 ‘합의서 폐기’를 요구했고, 이러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노조를 없애고 정리해고와 공장폐쇄를 강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권 의원은 "각계 각층의 하이디스 사태에 대한 노력을 언급하며 경기도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외투기업의 부도덕적 행태에 대한 국가적 적극 규제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본회의장 방청석에는 이상목 하이디스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김홍일 사무국장, 위경복 국장 등 10여명이 참석해 경청했다.
한편 하이디스는 2002년 부도난 현대전자(하이닉스)를 분리 매각하는 과정에서 2003년 중국 기업 BOE그룹에 매각된 뒤 2006년 부도 처리됐다.
이 과정에서 BOE그룹은 기술을 공유한다는 명분으로 양사의 전산망을 통합해 4331건의 기술을 유출한 사실이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난 바 있다. 당시 1713명에 달하던 노동자들도 377명으로 감축됐다.
2007년 다시 대만 이잉크에 매각됐지만, 기술개발이나 설비투자가 이뤄지지 않아 특허기술만 빼간다는 '기술먹튀' 논란을 빚어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