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心, 찬성 45% vs. 반대 26%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월 25일 국회법 개정안의 거부권을 행사하며 여당 지도부와 국회를 강하게 비판한 이후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민심(民心)은 ‘사퇴 반대’인 반면, 당심(黨心)은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 '사퇴해선 안 된다' 36%, '사퇴해야 한다' 31%, '모름·무응답' 33% 등으로 조사됐다. 반대 의견이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높은 셈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의 정치적 기반인 대구·경북에선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대한 찬성(46%)이 반대(28%)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지지 당심이라고 할 수 있는 새누리당 지지층에선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대한 찬성(45%)이 반대(26%)보다 19%포인트나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층에선 사퇴 반대(56%)가 찬성(22%) 보다 34%포인트나 높았다. 역선택 가능성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선 '잘했다'(36%)가 '잘못했다'(34%)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고 '모름·무응답'은 30%였다. 거부권 행사에 대해 여당 지지층은 64%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야당 지지층은 6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선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난주의 33%에서 1%p 상승한 34%이며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58%로 변동이 없었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343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열심히 한다/노력한다'(22%)(-7%P), '주관, 소신 있음/여론에 끌려가지 않음'(18%)(+8%p), '외교/국제 관계'(12%), '복지 정책'(6%), '도덕성/사심·비리 없음'(5%)(+3%p)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581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소통 미흡'(18%)(+3%p), '메르스 확산 대처 미흡'(16%)(-11%p),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11%)(+3%p), '독선/독단적'(9%)(+6%p), '리더십 부족/책임 회피'(8%)(-3%p), '전반적으로 부족하다'(5%), '경제 정책'(5%) 등을 지적했다.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 40%, 새정치연합 25%로 양당 모두 3주째 동일한 수치를 유지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성인 1004명 대상의 휴대전화·RDD(임의번호 걸기) 방식으로 지난 달 30일부터 2일까지 실시했으며, 이 조사의 오차 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6월 25일 국회법 개정안의 거부권을 행사하며 여당 지도부와 국회를 강하게 비판한 이후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민심(民心)은 ‘사퇴 반대’인 반면, 당심(黨心)은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와 관련해 '사퇴해선 안 된다' 36%, '사퇴해야 한다' 31%, '모름·무응답' 33% 등으로 조사됐다. 반대 의견이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높은 셈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의 정치적 기반인 대구·경북에선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대한 찬성(46%)이 반대(28%)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지지 당심이라고 할 수 있는 새누리당 지지층에선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대한 찬성(45%)이 반대(26%)보다 19%포인트나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층에선 사퇴 반대(56%)가 찬성(22%) 보다 34%포인트나 높았다. 역선택 가능성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선 '잘했다'(36%)가 '잘못했다'(34%)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고 '모름·무응답'은 30%였다. 거부권 행사에 대해 여당 지지층은 64%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야당 지지층은 6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선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난주의 33%에서 1%p 상승한 34%이며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58%로 변동이 없었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343명)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자유응답), '열심히 한다/노력한다'(22%)(-7%P), '주관, 소신 있음/여론에 끌려가지 않음'(18%)(+8%p), '외교/국제 관계'(12%), '복지 정책'(6%), '도덕성/사심·비리 없음'(5%)(+3%p)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581명)는 부정 평가 이유로(자유응답) '소통 미흡'(18%)(+3%p), '메르스 확산 대처 미흡'(16%)(-11%p),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11%)(+3%p), '독선/독단적'(9%)(+6%p), '리더십 부족/책임 회피'(8%)(-3%p), '전반적으로 부족하다'(5%), '경제 정책'(5%) 등을 지적했다.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 40%, 새정치연합 25%로 양당 모두 3주째 동일한 수치를 유지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성인 1004명 대상의 휴대전화·RDD(임의번호 걸기) 방식으로 지난 달 30일부터 2일까지 실시했으며, 이 조사의 오차 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