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친박 원내대표는 유승민 사퇴 의미 없어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은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이후 여권 전체를 휘감았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신임 원내대표를 합의 추대하기로 사실상 결정했다.
새누리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원내대표가 임기 중 사퇴 또는 사고로 공석이 되면 7일 이내에 의원총회를 열어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유 원내대표가 지난 8일 사퇴함에 따라 후임 원내대표는 15일까지 선출될 예정이다.
일단 원내대표 선출 방식과 관련해선 계파를 망라하고 합의 추대가 적합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그러나 친박계는 '친박 원내대표 추대' 의중을 은연중 드러내는 반면 비박계는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청와대 정무특보를 겸하고 있는 친박계 김재원 의원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후임 원내대표는 의원들의 의견이 잘 절충·수렴돼서 합의 추대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친박·비박 갈등 요소도 없애면서 당청 간의 관계도 원만하게 소통하고 여야 관계도 잘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가 선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당청 간 원만한 관계’를 언급하는 것은 사실상 친박 원내대표 쪽으로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이 기존의 당청관계에 대해 "청와대 입장에서는 당과 소통을 열심히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원내지도부가 오히려 청와대를 계속 고립시킨 측면이 있다"며 "(전임 원내지도부는)청와대를 소통 부족이라고 공격하면서도 정작 청와대와의 소통 노력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같은 날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 “친박계가 추천하는 사람이 원내대표가 돼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 의미가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새누리당 최고위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원내대표를 경선이 아닌 합의 추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는 '유승민 거취논란'으로 당내 갈등이불거된 상황에서 경선으로 원내대표를 선출할 경우 당내 갈등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을 우려한 조치로 보인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합의 추대 하는 게 어떻겠냐고 하는 의견에 공감했다"며 "다 같이 그런 생각들을 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김태호 최고위원도 "현재로선 당청 갈등의 후유증이 상존해있는 상황에서 '추대' 쪽이 설득력 있지 않나, 이렇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무성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합의를 봐야 한다. 최고위원들의 의견만 봤다"며 "결정사항은 아니다"고 밝힘에 따라 ‘합의 추대’는 의총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선출 선거관리위원회는 9일 오전 11시30분 회의를 열고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일을 14일로 결정했다.
서상기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에서 합의 추대로 의견이 모아졌지만 꼭 그렇게 한다는 보장은 없다"며 "결격 사유가 없으면 후보로 누구든 나올 수 있으므로 우리는 다 준비해놓으려 한다"고 말했다.
서 위원장은 "규정에 따르면 이틀 전에 후보를 받도록 되어 있다"며 "합의 추대는 그거대로 추진하되 실패하면 선거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본은 경선이다. 투표용지 등을 다 준비해 놓고 이틀 전까지 두고 본 뒤 마음의 준비를 해놔야 한다"고 전했다.
김무성 대표가 의원총회를 통해 결정한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의원총회에는 그런 권한이 없다"며 "의총에서 (후보를)못 나오게 하는 것은 안 맞는다"고 반박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은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이후 여권 전체를 휘감았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신임 원내대표를 합의 추대하기로 사실상 결정했다.
새누리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원내대표가 임기 중 사퇴 또는 사고로 공석이 되면 7일 이내에 의원총회를 열어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유 원내대표가 지난 8일 사퇴함에 따라 후임 원내대표는 15일까지 선출될 예정이다.
일단 원내대표 선출 방식과 관련해선 계파를 망라하고 합의 추대가 적합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그러나 친박계는 '친박 원내대표 추대' 의중을 은연중 드러내는 반면 비박계는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청와대 정무특보를 겸하고 있는 친박계 김재원 의원은 이날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후임 원내대표는 의원들의 의견이 잘 절충·수렴돼서 합의 추대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친박·비박 갈등 요소도 없애면서 당청 간의 관계도 원만하게 소통하고 여야 관계도 잘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가 선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당청 간 원만한 관계’를 언급하는 것은 사실상 친박 원내대표 쪽으로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이 기존의 당청관계에 대해 "청와대 입장에서는 당과 소통을 열심히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원내지도부가 오히려 청와대를 계속 고립시킨 측면이 있다"며 "(전임 원내지도부는)청와대를 소통 부족이라고 공격하면서도 정작 청와대와의 소통 노력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같은 날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 “친박계가 추천하는 사람이 원내대표가 돼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 의미가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새누리당 최고위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원내대표를 경선이 아닌 합의 추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는 '유승민 거취논란'으로 당내 갈등이불거된 상황에서 경선으로 원내대표를 선출할 경우 당내 갈등이 더욱 격화될 가능성을 우려한 조치로 보인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합의 추대 하는 게 어떻겠냐고 하는 의견에 공감했다"며 "다 같이 그런 생각들을 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김태호 최고위원도 "현재로선 당청 갈등의 후유증이 상존해있는 상황에서 '추대' 쪽이 설득력 있지 않나, 이렇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무성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합의를 봐야 한다. 최고위원들의 의견만 봤다"며 "결정사항은 아니다"고 밝힘에 따라 ‘합의 추대’는 의총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원내대표 및 정책위의장 선출 선거관리위원회는 9일 오전 11시30분 회의를 열고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일을 14일로 결정했다.
서상기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에서 합의 추대로 의견이 모아졌지만 꼭 그렇게 한다는 보장은 없다"며 "결격 사유가 없으면 후보로 누구든 나올 수 있으므로 우리는 다 준비해놓으려 한다"고 말했다.
서 위원장은 "규정에 따르면 이틀 전에 후보를 받도록 되어 있다"며 "합의 추대는 그거대로 추진하되 실패하면 선거를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본은 경선이다. 투표용지 등을 다 준비해 놓고 이틀 전까지 두고 본 뒤 마음의 준비를 해놔야 한다"고 전했다.
김무성 대표가 의원총회를 통해 결정한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의원총회에는 그런 권한이 없다"며 "의총에서 (후보를)못 나오게 하는 것은 안 맞는다"고 반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