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공천혁신추진단장인 원혜영 의원은 16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절대선이 아니다”라며 부정적 시각을 보였다.
당 정치혁신실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원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김무성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한 것은 유승민 원내대표를 못지킨 데 따른 국면전환용”이라고 평가절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희 당은 오픈 프라이머리를 절대 선으로 보지 않는다. 결국 현역 의원에게 결정적으로 유리하다고 정치학자들 대부분이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3분의 2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채택하지 않아야 한다고 응답했다는 최근 조사도 나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원 의원은 “당원과 국민이 직접 참여해서 자기가 지지하는 당의 후보자를 정한다는 것은 굉장히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되,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새로운 정치신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해서 일부는 전략공천을 해야 한다는 게 원 의원의 생각이다.
원 의원은 “이를테면 정의당 같은 경우에는 진성당원 중심으로 운영되는 진보정당이다. 여기는 당원들이 정말 주인이다. 그런 당원들이 존재하는데 일반 국민들에게 선택을 맡긴다는 건 맞지 않다. 또 우리 당 같은 경우는 여성과 청년 등 정치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전략 공천을 20% 이내에서 하게 되어 있으니까, 나머지 80%에 대해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하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대표 등 당 지도부가 이른바 ‘호남 물갈이’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100% 오픈 프라이머리를 받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수도권 같은 지역은 현역 의원의 조직력이나 인지도가 상당히 크게 작용할 수 있지만, 호남 같은 경우에는 워낙 당 지지도가 강하기 때문에, 그에 비추어서 현역 의원에 대한 평가가 인색할 수 있다. 지역 당세가 강한 곳일수록 현역에게 유리하다고 보는 것은 너무 단순한 도식화”라고 반박했다.
다만 그는 호남 지역의 물갈이에 대해 “물갈이는 항상 필요한 거다. 호남뿐만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필요한 거다. 후보 경쟁력은 약한데도 당 지지도에 힘입어서 당선의 이득을 누리는 것을 바로잡는 게 중요하다”며 “정말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물을 도입하는 것, 이게 정당이 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밀실에서의 결정에 맡겨왔던 것이 지금까지의 공천문제였다"며 "전략공천 위원회를 별로로 구성해서 원칙과 기준을 가지고 전략 공천을 하자. 이게 저희 당 당헌에 반영되어 있는 제도”라고 부연 설명했다.
한편 원 의원은 이날 박준영 전 전남지사 탈당에 대해 “야당이 제 역할을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다 보니까 자꾸 이렇게 원심력이 작동하는 것 같다. 그리고 호남의 경우에 오랜 우리당의 독점적 구조가 유지되다 보니까, 여러 정치세력들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것 아닌가, 그렇게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당 정치혁신실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원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김무성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한 것은 유승민 원내대표를 못지킨 데 따른 국면전환용”이라고 평가절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희 당은 오픈 프라이머리를 절대 선으로 보지 않는다. 결국 현역 의원에게 결정적으로 유리하다고 정치학자들 대부분이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3분의 2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채택하지 않아야 한다고 응답했다는 최근 조사도 나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원 의원은 “당원과 국민이 직접 참여해서 자기가 지지하는 당의 후보자를 정한다는 것은 굉장히 바람직한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되,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새로운 정치신인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해서 일부는 전략공천을 해야 한다는 게 원 의원의 생각이다.
원 의원은 “이를테면 정의당 같은 경우에는 진성당원 중심으로 운영되는 진보정당이다. 여기는 당원들이 정말 주인이다. 그런 당원들이 존재하는데 일반 국민들에게 선택을 맡긴다는 건 맞지 않다. 또 우리 당 같은 경우는 여성과 청년 등 정치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전략 공천을 20% 이내에서 하게 되어 있으니까, 나머지 80%에 대해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하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대표 등 당 지도부가 이른바 ‘호남 물갈이’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100% 오픈 프라이머리를 받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수도권 같은 지역은 현역 의원의 조직력이나 인지도가 상당히 크게 작용할 수 있지만, 호남 같은 경우에는 워낙 당 지지도가 강하기 때문에, 그에 비추어서 현역 의원에 대한 평가가 인색할 수 있다. 지역 당세가 강한 곳일수록 현역에게 유리하다고 보는 것은 너무 단순한 도식화”라고 반박했다.
다만 그는 호남 지역의 물갈이에 대해 “물갈이는 항상 필요한 거다. 호남뿐만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필요한 거다. 후보 경쟁력은 약한데도 당 지지도에 힘입어서 당선의 이득을 누리는 것을 바로잡는 게 중요하다”며 “정말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물을 도입하는 것, 이게 정당이 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밀실에서의 결정에 맡겨왔던 것이 지금까지의 공천문제였다"며 "전략공천 위원회를 별로로 구성해서 원칙과 기준을 가지고 전략 공천을 하자. 이게 저희 당 당헌에 반영되어 있는 제도”라고 부연 설명했다.
한편 원 의원은 이날 박준영 전 전남지사 탈당에 대해 “야당이 제 역할을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다 보니까 자꾸 이렇게 원심력이 작동하는 것 같다. 그리고 호남의 경우에 오랜 우리당의 독점적 구조가 유지되다 보니까, 여러 정치세력들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는 것 아닌가, 그렇게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