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원순 서울시장의 ‘서울역 고가공원 프로젝트’와 MB(이명박 전 대통령)의 ‘청계천복원 프로젝트’는 흡사 쌍둥이처럼 닮아도 너무 닮았다.
이쯤되면 박 시장의 ‘고가공원 사업’에 대해 ‘청계천 복원’의 ‘짝퉁 프로젝트’라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지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MB는 서울시장에 당선된 직후부터 청계천 상인들의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전담 대응팀을 꾸렸고, 불과 1년 만인 2003년에는 청계천복원사업추진본부를 설치하여 공사를 강행했다. 그 결과 2005년에 청계천 복원사업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그 청계천은 이제 서울시민들에게 빼놓을 수 없는 삶의 쉼터가 되었고, 시민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무수히 많은 도덕적 흠집에도 불구하고 MB가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청계천 복원’이라는 결과물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서울시장이라는 자리는 차기 대통령을 욕심낼만한 자리다. 박원순 시장이 대통령을 꿈꾸고 있다면 그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로 나무랄 수 없다. 다만 MB처럼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조급증으로 인해 서울시와 서울시민들에게 해악을 끼치는 결과를 초래할 ‘고가공원’을 무리하게 추진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다.
사실 MB의 청계천복원 프로젝트는 서울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가 있었다.
실제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있던 2002년 4월9일 한 언론사가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울시민의 74.6%가 찬성했으며, 주변 지역 주민들도 71.2%가 찬성했다. 찬성 여론이 압도적이었다.
반면 박원순의 ‘서울역 고가공원 프로젝트’는 어떤가.
먼저 고가공원 사업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1월 ‘서울역 7017 프로젝트’를 공식 발표하고 노후화로 인해 철거 예정이던 서울역 고가를 뉴욕의 ‘하이라인파크’같은 보행전용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계획을 내놨다.
즉 지난 2011년 정밀진단 했을 때 D등급이 나온 위험한 서울역 고가도로를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보강만 하여 공원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1970년에 건설돼 40년 넘게 도심부로 차량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했던 고가도로, 그 위에 공원을 조성했을 때 과연 시민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청계천 복원 사업과 달리 여론도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실제 디지털 중앙일보가 지난달 29일부터 ‘디지털 썰전’을 통해 서울역 고가 공원화 계획에 대한 일반인들의 찬반 투표와 함께 의견을 물은 결과 공원화 계획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989명(88%), 찬성 의견이 132명(12%)으로 반대가 찬성보다 무려 7배 이상 많았다.
반대 의견을 내놓은 네티즌들은 ‘서울역 고가 공원이 결코 보행 친화적 공간이 아니다’라는 점과 ‘안전 문제’, ‘인접 상권 침체’등을 지적했다.
그런데도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역 고가 공원화사업이 전체적인 방향을 잡았다며 성공을 확신하고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박 시장은 “서울역 7017 프로젝트는 이제 거의 틀이 잡혔다”며 “사람들이 반대하면서 오히려 사업이 유명해졌다. 완성되면 청계천 복원 사업 정도의 효과가 나지 않을까”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아무래도 MB가 청계천 복원사업을 대통령으로 가는 발판으로 삼았듯이 박 시장은 서울역 고가도로 사업을 대통령이 되기 위한 디딤돌로 삼으려는 것 같다.
그래서 걱정이다. 서울역 고가차도는 공사를 앞두고 최근에 안전진단을 마쳤다. 진단결과, 콘크리트 상판 중심부 바닥의 절반이 넘는 60%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거기에 공원을 만들어 고가도로 위에 나무라도 심는다면 하중은 훨씬 더 커질 것이다. 대대적인 보수공사 없이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당초 사업비 380억원으로는 턱도 없을 것 같다. 사업비가 무려 1000억원대가 넘어설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서울역 고가공원이 '돈 먹는 하마'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서울지방경찰청 교통안전시설심의위원회로부터 “주변지역에 대한 교통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 교통심의가 보류됐다는 사실이다. 당장 오는 10월부터 차량을 통제하고 공사를 시작하려던 서울시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어쩌면 박 시장에게는 이번 교통심의 보류결정이 고가공원 사업을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인지도 모른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박 시장은 이번 프로젝트가 시민들의 혈세만 쏟아 붓는 낭비행정이 되지 않도록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 주기 바란다.
특히 MB 흉내 내기 차원의 ‘청계천 복원 짝퉁 프로젝트’, 즉 차기 대권을 의식한 사업이라면 더더욱 무리하게 밀어붙여서는 안 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