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국정원 해킹의혹 놓고 대립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07-30 16:33:43
    • 카카오톡 보내기
    원유철 “직접 확인하는 게 진상규명”
    이종걸 “국정조사로 갈 수밖에 없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여야 원내대표가 이른바 국정원 해킹의혹을 둘러싸고 30일 날선 신경전을 보였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구매 의혹과 관련 다음달 6일 전문가 기술 간담회를 개최키로 여야가 합의한데 대해 "의혹만 앞세우지 말고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은 진상규명을 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삭제됐다가 복구된 파일은 임모 과장이 목숨 걸 내용이 아니다"며 “불법도 아니고 내국인 사찰 내용도 없었다면 왜 임씨가 죽었는지 모르겠다”고 거듭 의혹을 제기했다.

    먼저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국회 정보위 여야 간사간에 국정원 해킹 관련 전문가 기술 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며 "간담회든 현장방문이든 사실 확인이 중요하고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은 더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동그라미를 보면서 동그라미가 아니라고 자기 최면을 걸거나 세모나 네모라고 우기는 일은 국가혼란만 초래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원 원내대표는 "국가 안보는 물론 경제, 사회, 사이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보전에서 정보는 총탄과도 같다"며 "국익을 위해 전 세계가 다양한 정보전략 강화에 사활을 거는 마당에 우리나라만 거꾸로 가서 걱정의 목소리가 매우 높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한 달여 간 지속된 국정원 해킹 공방으로 대북사이버 정보활동이 중단 위기를 맞고 있다"며 "대북 정보시스템의 주요 내용과 방식 같이 정보 수집 자체가 대외비인데 이것이 외부로 노출되면 우리 안보에 큰 구멍이 나게 된다"고 지적했다.

    원 원내대표는 "북한은 인민군 정찰총국 산하에 전자 정찰국을 운영하고 있으며 5900여명의 사이버 부대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그런데 우리만 실체없는 뜬구름 같은 의혹으로 우리 방어망을 스스로 허무는 안보 자해행위는 이제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국정원 해킹논란에 대해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피력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국정원은 자료 제출로 국가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하지만 국정원이 국가기관으로서 국회 조사에 협조하지 않고 대통령도 진상규명할 의지가 없다면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상임위에서 진실규명이 어려워지면 국정조사를 할 수밖에 없다. 검찰로 안되면 특별수사 통해 강도 높은 단계로 옮겨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또 "임씨가 삭제한 파일이 51건이고 대부분이 실험용이라는 (국정원의)주장도 믿기 어렵다"며 "삭제한 전체 파일의 규모는 밝혀지지 않았고 이를 전부 복구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국정원이 위기탈출 카드를 뒤집어 씌우기나 꼬리자르기 카드로 잘못 선택하고 있다"며 기술직에 불과한 과장급 직원이 대북 대테러 해킹을 주도했다는데 (이와 달리)적어도 4~5명이 관련돼 해킹 프로그램을 운영했을 가능성이 크다. 전체를 기획하고 지시한 사람은 따로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