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노, 선대위-비대위 체제 전환요구...文, ‘마이웨이’ 행보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08-12 15:23:54
    • 카카오톡 보내기
    “분당 막으려면 문재인 체제 조기마감 해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당 안팎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분당 사태를 막으려면 문재인 체제를 조기마감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든지 최소한 선거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새정치민주연합 비노계 모 의원은 12일 <시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그렇지 않으면 당이 깨지고 내년 4월 총선은 참패하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실제 당내 비노계 일각에서는 '문 대표 퇴진 후 비대위 출범'을 촉구하는 목소리와 함께 '대표직은 유지하되 조기 선대위 출범'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동철 의원은 문재인 대표가 사퇴하고 대선주자 급이 참여하는 비대위 체제로 당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최근 MBC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문재인 대표가 당을 위해서 희생하고 헌신하는 살신성인의 자세를 보여줬으면 좋겠다"며 "대선주자 급으로 비대위 체제를 구성하는 체제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기의 근원은 당의 중심이자 뿌리인 호남 민심이 극도로 악화하고 분노하고 있다는 것이다. 호남 민심이 이렇게 악화되면 수도권의 호남 표심도 영향을 받는다"면서 "문재인 대표는 호남 민심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문재인 대표가 사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대선주자 급의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특히 비대위 구성원으로 대표직에서 물러날 문재인 의원을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안희정 충남지사·안철수 전 대표·김부겸 전 의원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수도권 출신 비노계 김영환 의원도 "총선 이전에 지도부를 탕평하는, 비상대책회의를 만들어 총선을 치르면 유리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며 "만약 그렇게 하는 게 효과적이라면 당연히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사실상 동의를 표했다.

    김한길계로 분류되는 노웅래 의원 역시 "우리가 집안싸움을 중단하고 한 목소리로 박근혜정부를 심판할 수 있는 총선을 치르려고 한다면 비대위도 한 방법"이라며 가세했다.

    당내 신당파로 분류되는 박주선 의원도 "여러 현역 의원들을 만나면 이대로 '문재인 체제로는 총선 승리가 불가능하다'는 공감대가 널리 확산돼 있다"며 문재인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반면 문재인의 대표직은 유지하되 "9~10월 중 내년 총선을 위한 선거대책위를 출범시키자"는절충안도 비노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 원내대표와 가까운 강창일 의원은 "문 대표에게 계속 사퇴를 요구할 경우 당이 깨질 수도 있기 때문에, 10월 중 조기 선대위를 발족해 공천권 문제를 정리해야 한다"며 "문 대표는 대표직에 전념하고 공천 문제는 선대위에 일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홍의락 의원도 9~10월이 되면 문 대표 체제가 크게 흔들릴 것”이라며 “정세균·박지원·안철수 의원 등 계파 수장들이 참여하는 조기 공동 선대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가세했다.

    하지만 비노계의 이같은 요구에도 문 대표는 아무런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은 채 ‘마이웨이’ 행보를 이어가고 있어 비대위체제나 선대위체제로의 조기전환은 성사될 가능성이 없다는 관측이다.

    문 대표는 지난 10일 전북 지역 의원들에 이어 12일 전남 지역 의원들과 만찬회동을 갖는 등 '호남 다독이기'에 나선 문대표는 '안보 행보'에 주력하는 것으로 비노계 의원들의 요구를 비껴가는 모습이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 전북 순창·남원 지역 당원들이 지난 10일 집단 탈당을 선언했다. 지난달 9일 전남 지역의 전직 당직자·당원들의 집단 탈당과 지난달 29일 영남 지역 당원들의 집단 탈당에 이어 세 번째 집단 탈당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