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신당론 주춤거리지만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08-30 15:00:51
    • 카카오톡 보내기
    조기선대위 구성-선거인단 당원비율로 계파갈등 재연 우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최근 호남 비노계를 중심으로 논의됐던 신당 창당 움직임이 주춤거리면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다시 힘을 받는 모습이다. 하지만 내년 총선 대비를 위한 실무기구를 잇따라 출범시키면서 조기선대위 구성에 따른 계파갈등 재연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총선 후보자 경선에서 일반 국민 참여늘 늘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비노계 성향의 권리당원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30일 “문재인 대표가 안철수 의원과 박지원 의원에 이어, 박영선 의원에게도 당내 특별위원회 위원장직을 맡기면서 비노계 모두를 끌어안은 셈이 됐다"며 " 문 대표가 힘을 받으면서 9월 빅뱅을 예고했던 신당 창당 움직임은 다소 주춤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제 비노 진영은 신당보다는 '공동 선대위'를 관철시키는데 힘을 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추진하는 신민당은 10월 재보선 출마 방침을 거듭 밝히고 있으나, 무소속 천정배 의원은 신당창당 시기를 놓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최근 총선실무기획단 첫 회의를 가졌다.

    진성준 전략기획위원장을 단장으로 한실무기획단은 총선 관련 실무부처 국장급 당직자 중심으로 꾸려졌으며 10월께 총선 전략을 총괄할 총선기획단이 구성되기 전까지 각종 업무 계획과 관련 기초 자료를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책·공약을 총괄할 총선정책기획단도 다음 달 출범할 예정이다.

    정책기획단은 최재천 정책위의장과 김성주 수석부의장을 각각 단장·부단장으로 하고, 정책위 부의장단과 정책조정위원장단, 내·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조기 선대위 구성 문제를 두고 친노-비노 간 힘겨루기가 예상됨에 따라 총선기획단이 예정대로 10월께 출범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당 관계자는 “조기 선대위나 총선기획단 등 공천 관련 기구를 구성할 때 계파 신경전 양상이 벌어 질 것”이라며 “지금은 당이 화합하는 것처럼 보여도 공천 등 민감한 사안에 직면할 경우 지금과는 다른 양상이 전개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총선 공천룰 쇄신안을 마련 중인 당 혁신위원회가 총선 후보 선거인단 국민참여 높이고 당원비중 줄이는 방향에 공감대를 이루고 선거인단 비율 손질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갈등이 예상된다.
    심지어 혁신위 일각에서는 여당의 오픈프라이머리 방침을 의식, 공천혁신 이미지 선점을 위해서는 국민참여 비율을 100%로 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새정치연합의 선거인단 구성 비율은 '일반국민 60%, 권리당원 40%'로 규정돼 있다. 과거에는 국민과 당원의 비율이 5대 5였지만, 지난 4월 공천혁신추진단이 권리당원 비율을 10% 줄였다.

    그런데 혁신위는 국민참여 비율을 이보다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혁신위는 최근 국회에서 진행된 의원 워크숍에서 소속 의원들을 상대로 구성비율 설문을 진행하면서 국민참여 비율을 각각 60%, 70%, 80%, 90%, 100%로 상향조정하는 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혁신위 관계자는 "권리당원들은 대부분 현직 의원이나 지역위원장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혁신위 논의 과정에서 국민참여 비율을 높이고 권리당원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논란을 의식한 듯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 “현역 의원들의 의견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설문 선택지에 100% 일반 국민만으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방안까지 포함함에 따라 현재보다 국민참여 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결론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 평당원협의회 관계자는 “당을 대표한 총선출마자들을 선출하는 것은 권리당원들의 당연한 권리”라며 “당원들의 권리를 박탈한다면 누가 당에 애정을 갖고 당비를 내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이는 호남 출신 당원들이 많기 때문에 호남 죽이기라는 오해를 받을 수도 있다”며 “되레 당원 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반발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