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6일 ‘단결’을 호소했으나, 이미 깊게 패인 계파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중앙위원회의에서 “우리는 지금 혁신이냐 기득권이냐, 단결이냐 분열이냐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있다”면서 “기득권이 아니라 혁신을, 분열이 아니라 단결을 선택해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탈당과 분당을 말하는 분열과 갈등을 끝내고 달라진 야권을 통합해야 더 근본적인 혁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마디로 단결을 위해 혁신안을 통과시켜달라는 뜻이다.
결국 그의 뜻대로 혁신안은 이날 중앙위원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로 인해 남겨진 상처가 너무나 크다. 아물기는커녕 되레 곪아터질 지경에 이르렀다.
실제 중앙위 개최를 앞두고 비노계 의원 모임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소속 문병호 유성엽 최원식 의원은 16일 오전 국회에서 김성곤 중앙위의장을 만나 "공개투표로 하면 혁신이 아니라 '유신'이 돼버리는 꼴"이라며 '무기명 비밀투표'를 재차 압박했다.
유 의원은 "사실상 문재인 대표가 혁신안에 진퇴를 걸었기 때문에 인사에 대한 사안"이라며 "인사에 대한 건 비밀투표로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공개 투표를 해버리면 혁신이 아니라 유신이 돼 버리는 꼴"이라며 "반대토론도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런 요구는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중앙위원회 불참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전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유감스럽게도 중앙위 개최가 강행됐다"며 "그동안 중앙위의 연기와 안건처리 연기를 주장했던 제가 참석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제가 중앙위에 참석해 반대토론을 할 수도 있다"며 "만약 문 대표가 재신임을 걸지 않았다면 당연히 참석해 의견을 밝혔겠지만 유감스럽게도 오늘 중앙위의 성격은 대표의 진퇴를 결정하는 자리로 변질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앙위원들의 혁신안에 대한 토론과 반대를 봉쇄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아마도 재신임을 걸지 않았다면 회의 내용과 결과는 달라질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주승용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가 제 기능을 상실했다”는 한탄의 글을 자신의 페이스 북에 올렸다.
주 최고위원은 “대표가 지도부의 존폐가 걸린 재신임 문제를 당 공식기구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이후부터 토론은 고사하고 회의조차 제대로 열리지 않고 있다”며 “지난번 최고위원회는 대표가 늦는다고 해서 제가 대신 사회를 봤지만, 오늘은 사전회의를 하고나서 저에게 사회를 맡기려 하기에 대표가 책임지는 게 맞다며 거부했다. 그 때문에 오늘 공개 최고위원회의가 열리지 못했다. 대표가 공식적으로 당무를 중지한 것도 아닌데, 사회를 거부하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는 요즘 최고위원으로서 권한과 책임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며 “당 소속 국회의원 등을 비롯한 당원들의 뜻을 대변하려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나, 손가락질을 당하거나 대부분 무시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당 밖에서도 문재인 대표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는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을 둘러싼 당내 논란과 관련, "문 대표가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모든 정치공학적 수단을 동원하고 있는 것같다"며 "재신임 투표를 취소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 명예교수는 전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문 대표는 자신이 혁신을 대변하고 있으며, 비판하는 사람들은 반혁신이자 기득권에 물든 사람들로 보는 것 같다. 전형적인 운동권 논리이자 흑백논리"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문 대표야말로 전형적인 기득권 상징으로 정의에 대한 어떤 감각도 없다"면서 "이번 사건에서 문 대표가 스스로 리더십의 한계를 드러냈다"고 맹비난했다.
비록 중앙위원회의에서 혁신안이 통과더라도 계파갈등의 골이 더욱 깊게 패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이런 상처를 근본적으로 치유하지 않고, 서둘러 봉합해 버린다면 언젠가는 곪아 터질 수밖에 없다.
어쩌면 이날의 중앙위원회가 탈당행렬과 신당창당 선언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을 남길지도 모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