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교통난 가중' 주장은 억측”vs. 지 “교통공단 연구결과 2배나 가중"
시 “남대문 상인들도 동의”vs. 지 "출처 어딘지 의심,..여론호도 말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서울시와 지상욱 새누리당 서울 중구당협위원장이 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서울역 고가공원화 사업을 둘러싼 공방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지상욱 위원장은 18일 “서울시는 서울역고가 공원화 사업 강행을 위한 억지주장을 중단하라”며 전날 자신이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지적한 문제점에 대해 해명한 서울시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다.
앞서 지 위원장은 국회 정론관에서 서울시의 고가공원화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무기한 저지투쟁을 선언한 바 있다.
당시 지 위원장은 서울시가 지난 2006년 D등급을 받은 이 고가에 대해 용역을 의뢰하고 2013년 3월 ‘서울역 고가 철거 및 왕복4차선 대체도로 설치계획’을 발표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용역결과 3개 대안 중 가장 적합하다고 선정한 대안을 철회하고 고가공원화사업을 강행하려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체도로 없이 철거하거나 공원을 만들 경우 마포, 용산 등의 인접지역과 도심 상당부분까지 교통소통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전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고가 공원화는 죽어 가는 남대문시장 상권을 살릴 수 있는 대안이라 남대문 시장 상인들도 동의하고 있다”며 “지위원장의 주장처럼 고가 공원화로 교통난이 가중된다는 것은 억측”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지 위원장은 다시 성명서를 통해 "서울시가 객관적 사실과 다른 내용을 주장하고 있다"며 “서울시 사업 강행의 타당성을 포장하기 위한 서울시의 일방적인 주장이자 여론 호도”라고 맹비난했다.
지 위원장은 이에 대한 객관적 근거로 (고가공원화 시행시) 2배 이상 지체가 가중될 것이라는 도로교통 공단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지위원장에 따르면 서울시는 10곳의 주변 교차로중 도로서비스 수준 최하인 F등급을 2곳으로 발표했지만 도로교통공단 연구결과는 최대 8곳의 교차로를 F등급으로 진단했다.
이 정도면 주변 지역의 교통이 거의 마비상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게 지 위원장의 주장이다.
그는 또 ‘상인들이 동의했다’는 서울시의 주장에 대해서도 “출처가 어디인지 진위가 의심스럽다"고 반박했다.
지 위원장은 "남대문시장 주식회사 김재용 대표는 ‘선 대체도로 건설 후 공사시행’이 일관된 상인들의 주장이라고 밝힌 바 있다"며 "서울시는 출처도 불분명한 주장을 남대문 상인 대다수의 의견인 양 여론을 호도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지역 주민들과 국가 유관기관들이 반대하고 있는 이 사업을 왜 꼭 대선이 있는 2017년에 맞춰 완공하겠다고 하는 것인가"라며 "이것이야말로 차기 대권을 목표로 정치적 의도를 가진 것이 아닌가?”라고 거듭 박시장의 대권 연계 의도에 의구심을 보였다.
자신이 나서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서민시장을 자처하는 박원순 시장이 오히려 서민을 죽이는 잘못된 정책을 강행하려하기 때문에 지역 주민의 기본권과 생존권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를 받들어 나서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 “남대문 상인들도 동의”vs. 지 "출처 어딘지 의심,..여론호도 말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서울시와 지상욱 새누리당 서울 중구당협위원장이 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서울역 고가공원화 사업을 둘러싼 공방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지상욱 위원장은 18일 “서울시는 서울역고가 공원화 사업 강행을 위한 억지주장을 중단하라”며 전날 자신이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지적한 문제점에 대해 해명한 서울시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다.
앞서 지 위원장은 국회 정론관에서 서울시의 고가공원화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무기한 저지투쟁을 선언한 바 있다.
당시 지 위원장은 서울시가 지난 2006년 D등급을 받은 이 고가에 대해 용역을 의뢰하고 2013년 3월 ‘서울역 고가 철거 및 왕복4차선 대체도로 설치계획’을 발표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용역결과 3개 대안 중 가장 적합하다고 선정한 대안을 철회하고 고가공원화사업을 강행하려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체도로 없이 철거하거나 공원을 만들 경우 마포, 용산 등의 인접지역과 도심 상당부분까지 교통소통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전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고가 공원화는 죽어 가는 남대문시장 상권을 살릴 수 있는 대안이라 남대문 시장 상인들도 동의하고 있다”며 “지위원장의 주장처럼 고가 공원화로 교통난이 가중된다는 것은 억측”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지 위원장은 다시 성명서를 통해 "서울시가 객관적 사실과 다른 내용을 주장하고 있다"며 “서울시 사업 강행의 타당성을 포장하기 위한 서울시의 일방적인 주장이자 여론 호도”라고 맹비난했다.
지 위원장은 이에 대한 객관적 근거로 (고가공원화 시행시) 2배 이상 지체가 가중될 것이라는 도로교통 공단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지위원장에 따르면 서울시는 10곳의 주변 교차로중 도로서비스 수준 최하인 F등급을 2곳으로 발표했지만 도로교통공단 연구결과는 최대 8곳의 교차로를 F등급으로 진단했다.
이 정도면 주변 지역의 교통이 거의 마비상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다는 게 지 위원장의 주장이다.
그는 또 ‘상인들이 동의했다’는 서울시의 주장에 대해서도 “출처가 어디인지 진위가 의심스럽다"고 반박했다.
지 위원장은 "남대문시장 주식회사 김재용 대표는 ‘선 대체도로 건설 후 공사시행’이 일관된 상인들의 주장이라고 밝힌 바 있다"며 "서울시는 출처도 불분명한 주장을 남대문 상인 대다수의 의견인 양 여론을 호도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지역 주민들과 국가 유관기관들이 반대하고 있는 이 사업을 왜 꼭 대선이 있는 2017년에 맞춰 완공하겠다고 하는 것인가"라며 "이것이야말로 차기 대권을 목표로 정치적 의도를 가진 것이 아닌가?”라고 거듭 박시장의 대권 연계 의도에 의구심을 보였다.
자신이 나서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서민시장을 자처하는 박원순 시장이 오히려 서민을 죽이는 잘못된 정책을 강행하려하기 때문에 지역 주민의 기본권과 생존권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를 받들어 나서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