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철, "국민공천제 당론은 야당과의 합의를 전제로 한 것".... "제3의 길 모색해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연합의 공천혁신안 통과로 그동안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의지를 천명해왔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지가 조금은 수세에 몰리는 분위기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국정감사 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픈프라이머리는 야당이 합의를 해서 같이 추진해야만 완벽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공천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바람에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 생겼고, 새로운 사정 변경이 생겼다"면서 "지난번(4월 의원총회) 국민공천제 (당론)는 야당과의 합의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밝혀 사실상 오픈프라이머리 시행이 불가한 것으로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민공천제를 기초로 한 국민 뜻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국민 상향식 공천 기본정신을 받는 제3의 길을 빨리 모색해야 할 때가 왔다"고 밝히는 등 친박계의 '불가론'에 동조하는 모습이어서 이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친박 핵심 홍문종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는 (새정치민주연합이) 공천혁신안을 통과시킴으로써 죽은, 선택할 수 없는 제도가 됐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새정치연합의 공천혁신안 통과 사실을 거론하며 이 같이 말했다.
홍 의원은 특히 논의 가능성을 언급한 새정치연합을 겨냥, "이미 그렇게(오픈 프라이머리를) 안 하겠다며 혁신안을 통과시킨 마당에 지금 할 수도 있다고 하는 것은 진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야당에서는 20%를 걸러내겠다고 이미 이야기했고, 공천혁신안에 의해 전략공천 하겠다고 천명한 거나 마찬가지"라며 "이 혁신안을 통과시킨 상황에서는 야당과 오픈프라이머리를 얘기하긴 난감하다,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새누리당 단독으로라도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오픈 프라이머리에 단독이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오픈 프라이머리는 야당의 동의 없이 될 수 없는 것”이라며 “만약 우리 단독으로 할 경우 역선택의 문제, 선거 비용의 문제, 공정한 경선 관리 문제 등 많은 문제들이 노정된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특히 원유철 원내대표의 '제3의 길' 언급에 대해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한 발언"이라며 "현실적으로 맞는 제안이 아닌가 싶다"고 공감을 표했다.
그는 "김무성 대표도 요즘 하시는 말씀을 보면 이제 오픈 프라이머리는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데) 국민들에게 공천을 돌려드리겠다고 한 약속 때문에 새로운 대안에 대해 말씀하시긴 시기적으로도 좀 부적절(할 것)"이라며 "야당이 확실히 오픈 프라이머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공감대가 있을 때, 그리고 조금 더 공천(시기가) 가까워졌을 때 이 일을 추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시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홍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 여야 동시 도입이 무산될 경우 책임에 대해선 "(김무성) 대표의 잘못은 아니다"라며 "이건 우리 새누리당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야당의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무성 대표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 같은 날 BBS 라디오 방송에 출연, 오픈프라이머리는 물 건너갔다는 진단에 대해 “아직까지 정개특위가 그런 협상을 완전히 마무리한 것도 아니고, 또 마지막으로 양당 대표 간에 또 협상을 통해서 정책적인 타결이라는 게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연합의 공천혁신안 통과로 그동안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의지를 천명해왔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지가 조금은 수세에 몰리는 분위기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18일 국회에서 국정감사 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픈프라이머리는 야당이 합의를 해서 같이 추진해야만 완벽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공천 혁신안을 통과시키는 바람에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 생겼고, 새로운 사정 변경이 생겼다"면서 "지난번(4월 의원총회) 국민공천제 (당론)는 야당과의 합의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밝혀 사실상 오픈프라이머리 시행이 불가한 것으로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민공천제를 기초로 한 국민 뜻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국민 상향식 공천 기본정신을 받는 제3의 길을 빨리 모색해야 할 때가 왔다"고 밝히는 등 친박계의 '불가론'에 동조하는 모습이어서 이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친박 핵심 홍문종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는 (새정치민주연합이) 공천혁신안을 통과시킴으로써 죽은, 선택할 수 없는 제도가 됐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서 새정치연합의 공천혁신안 통과 사실을 거론하며 이 같이 말했다.
홍 의원은 특히 논의 가능성을 언급한 새정치연합을 겨냥, "이미 그렇게(오픈 프라이머리를) 안 하겠다며 혁신안을 통과시킨 마당에 지금 할 수도 있다고 하는 것은 진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야당에서는 20%를 걸러내겠다고 이미 이야기했고, 공천혁신안에 의해 전략공천 하겠다고 천명한 거나 마찬가지"라며 "이 혁신안을 통과시킨 상황에서는 야당과 오픈프라이머리를 얘기하긴 난감하다,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새누리당 단독으로라도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오픈 프라이머리에 단독이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오픈 프라이머리는 야당의 동의 없이 될 수 없는 것”이라며 “만약 우리 단독으로 할 경우 역선택의 문제, 선거 비용의 문제, 공정한 경선 관리 문제 등 많은 문제들이 노정된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특히 원유철 원내대표의 '제3의 길' 언급에 대해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한 발언"이라며 "현실적으로 맞는 제안이 아닌가 싶다"고 공감을 표했다.
그는 "김무성 대표도 요즘 하시는 말씀을 보면 이제 오픈 프라이머리는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데) 국민들에게 공천을 돌려드리겠다고 한 약속 때문에 새로운 대안에 대해 말씀하시긴 시기적으로도 좀 부적절(할 것)"이라며 "야당이 확실히 오픈 프라이머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공감대가 있을 때, 그리고 조금 더 공천(시기가) 가까워졌을 때 이 일을 추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시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홍 의원은 오픈 프라이머리 여야 동시 도입이 무산될 경우 책임에 대해선 "(김무성) 대표의 잘못은 아니다"라며 "이건 우리 새누리당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야당의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무성 대표 측근인 김성태 의원은 같은 날 BBS 라디오 방송에 출연, 오픈프라이머리는 물 건너갔다는 진단에 대해 “아직까지 정개특위가 그런 협상을 완전히 마무리한 것도 아니고, 또 마지막으로 양당 대표 간에 또 협상을 통해서 정책적인 타결이라는 게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