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총성 없는 계파전쟁 예고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10-04 11:07:41
    • 카카오톡 보내기
    새누리, 공천 특별기구 구성문제 친박-비박 이견
    새정치, 선출직 평가위 구성놓고 친노-비노 격돌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여야가 내년 4월 총선 공천에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될 기구 구성을 놓고 계파 갈등으로 난항을 겪는 모습이다.

    새누리당은 공천 방식 결정을 위한 특별기구를 5일 오전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친 뒤 출범키로 했지만 인적 구성 문제로 잡음이 일고 있다.

    비박계는 현재 운용 중인 국민공천제 태스크포스팀에서 일부만 교체하자는 입장이지만, 친박계는 전면 교체를 요구하며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당내 '현역 의원 20% 물갈이'를 위한 평가위원회 구성을 금주 중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겠다는 방침이지만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를 위원장으로 선임하려는 친노 지도부와 이를 결사반대하는 비노계 간의 갈등이 격화될 조짐이다.

    ◇새누리= 새누리당은 일단 공천을 위한 기구 구성에는 친박-비박계 간 이견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내일(5일) 열리는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치면 되지만 인적 구성 문제로 계파 간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4일 "기구 구성은 김무성 대표 측이나 친박계 측이나 이견이 없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면서도 "하지만 위원장을 비롯한 구성원 선임 문제는 계파 간 견해차가 워낙 커서 진통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당 관계자는 "김 대표 측은 이제까지 당 공천관련 기구의 위원장은 당연직으로 사무총장이 맡아온 게 관례였기 때문에 황진하 사무총장이 특별기구를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 측은 당 대표 직속 당직인 사무총장에게 이번 특별기구 위원장을 맡길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 친박계에서는 황진하 사무총장이 비록 범친박계로 분류되지만, 김 대표 체제 하에서 국민공천제 TF를 이끌면서 오픈프라이머리 추진과 안심번호 제도에 힘을 실어왔기 때문에 최고위원 가운데 한 사람을 위원장으로 선임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 구성 문제도 계파 간 견해차가 뚜렷하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당초 현 국민공천제 TF를 기본으로 인선하겠다는 구상을 밝혔고 친박계는 현 TF 소속 의원 중 대다수가 비박계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현재 국민공천제 TF에는 당연직 외에 황영철·경대수·서용교·민현주·이우현·이현재 의원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 가운데 이우현 의원만 친박계이고 다른 의원들은 모두 비박계로 분류된다.

    외부인사 포함여부를 두고도 대립양상이다.

    황 사무총장은 외부 전문가를 1~2명 포함시키는 안을 구상했고, 김 대표 역시 이에 동의했으나 친박계는 당 공천룰을 정하는 데 정치판 생리를 잘 모르는 외부인사를 참여시키면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위원회와 같은 이상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 새정치민주연합은 당내 '현역 의원 20% 물갈이'를 담당하게 될 선출직 공직자 평가위원회를 이번 주 안에 출범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위원장으로는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비노계 측은 조 교수의 19대 총선 공천 참여 이력을 문제 삼으면서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노계 모 의원은 "19대 총선 당시 친노진영에 유리한 공천으로 문제가 되지 않았냐"며 "굳이 당시 공천에 참여한 인사를 다시 기용해 논란을 일으킬 이유가 무엇이냐. 조 교수의 평가위원장 임명을 강행할 경우 계파 갈등으로 위원장 인선이 표류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문병호 의원은 "조은 교수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면서도 "다만 혁신을 하자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그것을 다루는 사람도 좀 새로운 사람을 하는 게 좋지 않겠는가. 4년 전에 우리 당 공천심사위원을 지낸 분이 또 다시 우리 당의 주요직책을 맡는 것은 과거로 가는 것"이라고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특히 추미애 최고위원은 이부영 상임고문을 위원장으로 추천했는데 주승용 최고위원 등도 이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 최고위원은 "이 고문의 경우 당을 잘 알고 있는데다가 정계은퇴를 선언한 만큼 사심없이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포퓰리즘으로 흐르거나, 계파의 이익에 얽매이지도 않을 분"이라고 추천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문재인 대표 등 친노 측은 '조은 평가위 체제'를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당 관계자는 "총선체제 전환이 더 늦어져서는 안된다. 애초 평가위 구성 시점은 지난달 20일이었다. 계획보다 보름 가까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미 조은 교수를 유력 후보를 물망에 올리고 본인의 수락까지 받았는데, 다시 원점으로 되돌리기는 어렵다"고 잘라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