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은 12일 오전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진통을 겪고 있는 공천특별기구 위원장 선임을 논의했지만 치친박-비박 간의 이견차를 좁히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특별기구 위원장 선임을 포함한 특별기구 출범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지금까지 정해진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박계는 황진하 사무총장이 공천기구 위원장을 맡아야 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이주영 의원을 밀고 있어 의견 조정에 진통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인선 권한을 위임받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서청원 최고위원, 원유철 원내대표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다”며 “위원장 인선이 난항을 겪으면서 비박계 중진 의원의 집단 반발과 의원총회 재소집까지 거론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공천특별기구 위원장으로 김 대표는 황진하 사무총장을, 친박계는 4선의 이주영 의원을 앞세우면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비박계, 친박계의 힘겨루기를 상징하는 ‘대리전’양상”이라며 “위원장 인선 자체도 중요하지만 내년 총선을 앞두고 밀릴 수 없다는 계파 간의 세 싸움이 기저에 깔린 것 같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위원장 인선 논의는) 계속 진행 중”이라며 “합리적으로 결정 잘 날 것”이라고 밝혔다.
원 원내대표는 김 대표의 의중만으로 위원장직을 선출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김 대표 측은 공천 룰을 다루는 작업이기 때문에 당 대표의 의사를 존중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원 원내대표는 “(공천 룰과 관련) 리더십이 아닌 당헌당규에 따라야 한다는 건 상식”이라며 “누구나 예외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대표의 의사를 그대로 따르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비박계는 재차 의원총회을 소집하는 것은 물론 비박계 중진 의원의 집단 반발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어 이를 둘러싼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특별기구 위원장 선임을 포함한 특별기구 출범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지금까지 정해진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박계는 황진하 사무총장이 공천기구 위원장을 맡아야 된다는 입장인 반면,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낸 이주영 의원을 밀고 있어 의견 조정에 진통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인선 권한을 위임받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서청원 최고위원, 원유철 원내대표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다”며 “위원장 인선이 난항을 겪으면서 비박계 중진 의원의 집단 반발과 의원총회 재소집까지 거론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공천특별기구 위원장으로 김 대표는 황진하 사무총장을, 친박계는 4선의 이주영 의원을 앞세우면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비박계, 친박계의 힘겨루기를 상징하는 ‘대리전’양상”이라며 “위원장 인선 자체도 중요하지만 내년 총선을 앞두고 밀릴 수 없다는 계파 간의 세 싸움이 기저에 깔린 것 같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위원장 인선 논의는) 계속 진행 중”이라며 “합리적으로 결정 잘 날 것”이라고 밝혔다.
원 원내대표는 김 대표의 의중만으로 위원장직을 선출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김 대표 측은 공천 룰을 다루는 작업이기 때문에 당 대표의 의사를 존중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원 원내대표는 “(공천 룰과 관련) 리더십이 아닌 당헌당규에 따라야 한다는 건 상식”이라며 “누구나 예외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대표의 의사를 그대로 따르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비박계는 재차 의원총회을 소집하는 것은 물론 비박계 중진 의원의 집단 반발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어 이를 둘러싼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