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혁신위원회에 대한 비노 진영의 반격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혁신위원회가 현역 의원 평가위원회 구성이 완료될 때까지 해산하지 않겠다며 배수진을 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혁신위원인 서울대 조국 교수는 13일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당내 비노 진영이 전날 혁신토론회를 개최한 것에 대해 "문재인이 국정교과서 반대 광화문 1인 시위를 하던 날, 혁신위를 비판하는 토론회를 연 것은 '거시기'하다"고 포문을 열었다.
조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타이밍을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았을까" 라며 이같이 꼬집었다.
전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 등이 주최한 '새정치연합, 뭐가 문제인가' 토론회에는 비노 진영 수장들이 총출동, 축사를 통해 문재인 대표와 혁신위원회를 맹비난했다.
김한길 전 대표는 "(지난 4.29 재보선 패배 이후) 많은 분들이 우리 당 최고의 혁신은 패권정치의 청산이라고 지적했지만, 혁신위 생각은 달랐던 것 같다. 혁신위는 세부 공천 절차에만 집중했다"며 "결과적으로 문재인 대표가 내세운 혁신위의 결론은 국민 신뢰와 지지를 구하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분열과 분란을 조장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혁신의 이름으로 또 다시 계파와 패권을 강화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의심을 받고 있다"며 "이제는 친노니, 비노니 하는 차원의 모든 당 내 계파싸움을 그만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김 전 대표는 “당 밖 인사까지 함께 하는 야권 대통합을 통해 총선·대선 승리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혁신안은 실패’라고 규정한 안철수 전 대표는 자신이 최근 발표한 자체 혁신 실천안인 '당 부패척결'과 '낡은 진보 청산'을 언급하며 "혁신결과로 보수 대 진보의 구도가 아니라, 합리적 개혁 대 기득권 수구의 구도로 대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혁신위는 끝났지만 왜 구성했고 무슨 혁신을 했는지 의문만 커졌다“며 "혁신이란 이름으로 진행된 분열에 정면으로 맞서 답을 내야 총선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영선 전 원내대표는 "지금 야당이 (하나로) 합칠 수 있는 방법은 통합전당대회가 아니겠느냐"며 문 대표가 참여하는 통합전대 개최를 주문했다.
민집모 소속 최원식 의원도 발제문에서 "혁신위는 대선패배, 19대 총선공천과 평가, 4䞙재보궐선거 패배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간과해 당 내의 근본적 문제를 정조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발제자로 나선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도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키기 위해선 물러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과정이 자발적으로 그리고 아름답게 이뤄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문 대표를 압박했다.
하지만 혁신위는 선출직공직자평가위의 시행 세칙이 최고위원회에서 의결되지 않고 있는 점을 들어 이날로 예정됐던 혁신위 해산 기자회견을 연기하는 등 배수진을 치고 나섰다.
당초 지난 달 20일까지였던 평가위 구성이 시한을 넘기자 당규 개정을 통해 기간을 한 달 더 연장한 상태다.
혁신위는 입장발표를 통해 "문재인 당대표와 최고위원들에게 이번주까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의 시행 세칙을 의결해 줄 것을 요구했다"며 "시행 세칙의 의결 전까지 혁신위는 해산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비노 측인 주승용 최고위원이 페이스북 글에서 “지도부가 평가위 구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는데도 혁신위가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며, “혁신위는 더 이상 당을 분열시키지 말고 즉각 해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혁신위원인 서울대 조국 교수는 13일 안철수 전 공동대표 등 당내 비노 진영이 전날 혁신토론회를 개최한 것에 대해 "문재인이 국정교과서 반대 광화문 1인 시위를 하던 날, 혁신위를 비판하는 토론회를 연 것은 '거시기'하다"고 포문을 열었다.
조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타이밍을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았을까" 라며 이같이 꼬집었다.
전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 등이 주최한 '새정치연합, 뭐가 문제인가' 토론회에는 비노 진영 수장들이 총출동, 축사를 통해 문재인 대표와 혁신위원회를 맹비난했다.
김한길 전 대표는 "(지난 4.29 재보선 패배 이후) 많은 분들이 우리 당 최고의 혁신은 패권정치의 청산이라고 지적했지만, 혁신위 생각은 달랐던 것 같다. 혁신위는 세부 공천 절차에만 집중했다"며 "결과적으로 문재인 대표가 내세운 혁신위의 결론은 국민 신뢰와 지지를 구하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분열과 분란을 조장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혁신의 이름으로 또 다시 계파와 패권을 강화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의심을 받고 있다"며 "이제는 친노니, 비노니 하는 차원의 모든 당 내 계파싸움을 그만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김 전 대표는 “당 밖 인사까지 함께 하는 야권 대통합을 통해 총선·대선 승리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혁신안은 실패’라고 규정한 안철수 전 대표는 자신이 최근 발표한 자체 혁신 실천안인 '당 부패척결'과 '낡은 진보 청산'을 언급하며 "혁신결과로 보수 대 진보의 구도가 아니라, 합리적 개혁 대 기득권 수구의 구도로 대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혁신위는 끝났지만 왜 구성했고 무슨 혁신을 했는지 의문만 커졌다“며 "혁신이란 이름으로 진행된 분열에 정면으로 맞서 답을 내야 총선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영선 전 원내대표는 "지금 야당이 (하나로) 합칠 수 있는 방법은 통합전당대회가 아니겠느냐"며 문 대표가 참여하는 통합전대 개최를 주문했다.
민집모 소속 최원식 의원도 발제문에서 "혁신위는 대선패배, 19대 총선공천과 평가, 4䞙재보궐선거 패배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을 간과해 당 내의 근본적 문제를 정조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발제자로 나선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도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키기 위해선 물러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과정이 자발적으로 그리고 아름답게 이뤄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문 대표를 압박했다.
하지만 혁신위는 선출직공직자평가위의 시행 세칙이 최고위원회에서 의결되지 않고 있는 점을 들어 이날로 예정됐던 혁신위 해산 기자회견을 연기하는 등 배수진을 치고 나섰다.
당초 지난 달 20일까지였던 평가위 구성이 시한을 넘기자 당규 개정을 통해 기간을 한 달 더 연장한 상태다.
혁신위는 입장발표를 통해 "문재인 당대표와 최고위원들에게 이번주까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의 시행 세칙을 의결해 줄 것을 요구했다"며 "시행 세칙의 의결 전까지 혁신위는 해산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비노 측인 주승용 최고위원이 페이스북 글에서 “지도부가 평가위 구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는데도 혁신위가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다”며, “혁신위는 더 이상 당을 분열시키지 말고 즉각 해산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