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非盧 반격에 손학규 복귀설 ‘솔솔’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5-10-14 13:23:12
    • 카카오톡 보내기
    통합행동은 ‘孫 등판 ’준비모임?...손 측 “명분 없는 번복 없다” 일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역사교과서 국정화 대여 공세로 모처럼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친노 비노의 '자기 몫 챙기기'에 급급한 친노 비노 간 계파 이기주의로 당내 갈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14일 새정치연합 관계자 등에 따르면 당장 '투톱'부터 비례대표 의석 조정을 놓고 이견을 보이며 삐걱거리고 있다.

    문재인 대표 등 친노 진영은 비례대표 의원 수 유지를 주장하는 반면 비노 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한 비주류와 호남 의원들은 비례대표 축소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이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이 정당명부식 연동형 권역별 비례대표제도를 일부 문 열면 우리 당도 비례대표 수에 대한 논의의 문을 열겠다.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표가 줄곧 비례대표 의원수 축소에 대해 반대해 왔는데도 이 원내대표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입장을 뒤엎은 셈이다.

    그러자 문 대표는 "아직은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며 "그렇게 입장을 정한 바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그렇게 앞서가면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되지 않으면서 비례대표만 줄일 수 있는 여지를 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전략적으로도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는 당내 친노-비노 진영 갈등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이미 비노 진영의 재반격이 시작됐다는 관측 아래 손학규 등판론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당직자 출신 한 인사는 “김한길·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박지원 의원 등에 국한됐던 비노 진영에 박영선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 등 중립지대 인사들이 가세하는 등 요즘 ‘반문(반문재인)연대’가 일제히 모습을 드러내면서 총궐기에 나선 모양새”라며 ““천정배 박주선 의원과 박준영 전 전남지사 등 호남에 지역구를 둔 비노계 인사들은 이미 탈당으로 각자도생의 길로 나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친노 지도부의 예정된 공천 대학살을 피해 일찌감치 제 살길을 찾아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12년년 총선과 그해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바라며 몰표를 몰아줬던 호남 지지층 사이에서는 문재인 대표에 대한 반감이 상당해 호남신당을 만들어도 성공가능성이 있지만 수도권은 ‘분열은 필패’라는 인식이 강하다”며 “중도성향 전·현직 비노계 인사들이 통합행동을 결성해 범야권 통합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생존을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손학규 전 대표의 정계복귀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통합행동이 전면에 나선 것은 전남 강진에 셀프 유배 중인 손 전 대표가 문재인 대표보다 내년 총선은 물론 내후년 대선 승리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 그를 이끌어 내기 위한 것이라는 것.

    실제 통합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정장선 전 의원은 손학규 대표 시절 사무총장을 맡았던 인연이 있고, 조정식 의원, 송영길 전 인천시장도 손 전 대표와 가까운 사이로 알려졌다.

    김부겸 전 의원은 최근 대구에서 손 전 대표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김영춘 전 의원은 당 대표 경선 당시 손 전 대표를 공개적으로 지지한 바 있다. 또 박영선 전 원내대표는 강진에서 유일하게 손 전 대표를 만난 당내 인사다.

    통합행동이 손학규 정계복귀를 준비하는 모임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는 배경이다.

    당 비노 진영의 한 관계자는 “‘호남의 천정배-영남의 김부겸-수도권의 손학규’구도가 급부상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정작 손 전 대표 측은 “명분 없이 정계은퇴 선언을 번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총선 전 정계복귀 가능성에 손사레를 쳤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