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지난 16일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에 조은 동국대 명예교수 임명을 강행함에 따라 '후폭풍'이 일고 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18일 “문 대표가 당내 현역 의원 '20% 물갈이’를 지휘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위원장에 조은 교수를 임명했으나, 당내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아 만만찮은 후유증이 예상된다”며 “조 위원장 인선으로 ‘현역 물갈이’가 현실화되면서 ‘국정교과서 정국’으로 잠잠했던 당내 계파 분란이 재점화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최규성 의원 등 79명이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 요구에 서명해 귀추가 주목된다.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가 이뤄질 경우 선출직공직자 평가위는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 의원 등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당헌 제5장 원내기구 66조 1항에 따르면 의원총회는 재적의원 3분의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원내대표가 소집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들이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시행되면 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5대 범죄 전과자를 제외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경선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완전국민경선제인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역 의원들에게 더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현역 물갈이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공평위는 현역 의원 128명을 평가해 하위 20%에 해당하는 의원들을 내년 총선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는 공천혁신안을 실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갈이될 확률이 높은 현역 새정치 내 비주류 의원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라며 “오픈프라이머리가 실시되면 공평위는 사실상 의미를 상실하게 돼 새정치연합 당내 친노·비노 갈등이 격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18일 “문 대표가 당내 현역 의원 '20% 물갈이’를 지휘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위원장에 조은 교수를 임명했으나, 당내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아 만만찮은 후유증이 예상된다”며 “조 위원장 인선으로 ‘현역 물갈이’가 현실화되면서 ‘국정교과서 정국’으로 잠잠했던 당내 계파 분란이 재점화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최규성 의원 등 79명이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 요구에 서명해 귀추가 주목된다.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가 이뤄질 경우 선출직공직자 평가위는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 의원 등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당헌 제5장 원내기구 66조 1항에 따르면 의원총회는 재적의원 3분의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원내대표가 소집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들이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시행되면 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5대 범죄 전과자를 제외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경선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완전국민경선제인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역 의원들에게 더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현역 물갈이가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공평위는 현역 의원 128명을 평가해 하위 20%에 해당하는 의원들을 내년 총선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는 공천혁신안을 실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갈이될 확률이 높은 현역 새정치 내 비주류 의원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이라며 “오픈프라이머리가 실시되면 공평위는 사실상 의미를 상실하게 돼 새정치연합 당내 친노·비노 갈등이 격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