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개' 입은 '온천천'
[아산=박명수 기자]충남 아산시가 '2015년 우리동네가꾸기' 사업으로 추진해 온 온천천 생태하천 경관개선사업(이하 경관개선사업)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2일 시에 따르면 이번 경관개선사업은 2009년부터 약 6년의 시간을 들여 되살린 온천천을 지역 특색에 맞게 디자인하는 작업으로 지역의 특성을 무시하고 유명한 관광지를 따라 만드는 여타 시·군의 사업과 달리 사업 구상 단계부터 싸전, 온양 행궁, 행차로, 거북선 등 시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 계획됐다.
특히 전국에서 최초로 콘크리트 조형물에 수납가구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자개를 사용해 시의 전통성을 표현했으며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공예 전시장으로 업그레이드시켜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하는 체험공간으로 조성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7년째 시행 중인 우리 동네 가꾸기 사업은 시의 대표적인 경관개선사업으로 지역의 특성을 디자인으로 접목시켜 진행하고 있다. 자개를 활용한 교량 디자인은 새로운 재료 및 표현 방법의 발견이며 단순히 경관 개선을 넘어 타 지자체에 문화적인 신선한 도발로 인식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산=박명수 기자]충남 아산시가 '2015년 우리동네가꾸기' 사업으로 추진해 온 온천천 생태하천 경관개선사업(이하 경관개선사업)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2일 시에 따르면 이번 경관개선사업은 2009년부터 약 6년의 시간을 들여 되살린 온천천을 지역 특색에 맞게 디자인하는 작업으로 지역의 특성을 무시하고 유명한 관광지를 따라 만드는 여타 시·군의 사업과 달리 사업 구상 단계부터 싸전, 온양 행궁, 행차로, 거북선 등 시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 계획됐다.
특히 전국에서 최초로 콘크리트 조형물에 수납가구를 화려하게 장식하는 자개를 사용해 시의 전통성을 표현했으며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공예 전시장으로 업그레이드시켜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하는 체험공간으로 조성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시 관계자는 “7년째 시행 중인 우리 동네 가꾸기 사업은 시의 대표적인 경관개선사업으로 지역의 특성을 디자인으로 접목시켜 진행하고 있다. 자개를 활용한 교량 디자인은 새로운 재료 및 표현 방법의 발견이며 단순히 경관 개선을 넘어 타 지자체에 문화적인 신선한 도발로 인식될 것”이라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