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손학규 전 새정치민주연합 전 상임고문이 4일 정치현안과 관련, “정치는 국민을 통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카자흐스탄 키맵대에서 ‘한반도 통일과 리더십’에 관한 강연을 마치고 귀국한 손 전 고문은 이날 인천공항에서 “정치가 국민을 분열시키게 돼선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도 새정치연합 당내 일각에서 '10.28 재보선’참패 이후 ‘손학규 역할론’이 제기되고 있다는 기자의 말에 “그건 안 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카자흐스탄 강연 행보를 정계복귀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통일 문제는 민족의 문제지 정치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키맵대 강연 내용을 거론했다.
그는 “남북한 관계가 상당히 빠르게 변화고 있고 일부에서는 북한의 급변하는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것이 상당히 비약이 돼 통일론처럼 되고 있다”며 “그래서 충분한 준비가 갖춰져 있느냐, 통일이 가능할 것이냐. 그게 우리에게 유리한 국면이 될 것이냐 하는 평소에 제가 생각하고 있던 개혁ㆍ개방을 통한 통일을 어떻게 이룰 수 있을 것인지 강연에서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일기반 형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북한 개혁개방으로 이끌어야 하고, 북한이 개혁개방으로도 체제가 위협받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심어 대화에 나오도록 한다"면서 "교류협력을 활성화해 남북간 격차를 줄이고 이질성을 축소해서 소프트랜딩(연착륙)을 하는 것이야 말로 통일의 가장 효과적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 전 대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관련해선 “우리 어린 학생들이 편향되지 않은 역사교육을 받을 권리를 갖고 있다”며 “기성세대는 편향적이지 않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담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가의 역할은 학계 최고 권위자들이 역사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편찬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이것이 국가의 역할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7일 키맵대 강연을 위해 출국한 손 전 대표는 당초 같은 달 31일 귀국 예정이었으나 현지 체류 기간이 늘어난 것과 관련, “중앙아시아에 간 김에 실크로드를 밟아보고 싶었다"며 "중국에서 ‘일대일로(一帶一路)’정책으로 중앙아시아뿐만 아니라 남해를 통해 유럽에 진출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는데, ‘일대일로’정책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는 걸 볼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인천공항에서 곧 바로 강진으로 향한 손 전 대표는 ‘강진에 언제까지 머물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강진에 있는 산이 나보고 ‘더 이상 너 지겨우니 못 있겠다. 나가버려라’고 하면 할 수 없고…”라며 여운을 남기는 답변을 했다.
이날 인천공항 귀국장에는 부인 이윤영 여사와 송태호 동아시아미래재단 이사장이 나와 손 전 대표를 맞았다.
카자흐스탄 키맵대에서 ‘한반도 통일과 리더십’에 관한 강연을 마치고 귀국한 손 전 고문은 이날 인천공항에서 “정치가 국민을 분열시키게 돼선 안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도 새정치연합 당내 일각에서 '10.28 재보선’참패 이후 ‘손학규 역할론’이 제기되고 있다는 기자의 말에 “그건 안 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카자흐스탄 강연 행보를 정계복귀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통일 문제는 민족의 문제지 정치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키맵대 강연 내용을 거론했다.
그는 “남북한 관계가 상당히 빠르게 변화고 있고 일부에서는 북한의 급변하는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것이 상당히 비약이 돼 통일론처럼 되고 있다”며 “그래서 충분한 준비가 갖춰져 있느냐, 통일이 가능할 것이냐. 그게 우리에게 유리한 국면이 될 것이냐 하는 평소에 제가 생각하고 있던 개혁ㆍ개방을 통한 통일을 어떻게 이룰 수 있을 것인지 강연에서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일기반 형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북한 개혁개방으로 이끌어야 하고, 북한이 개혁개방으로도 체제가 위협받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심어 대화에 나오도록 한다"면서 "교류협력을 활성화해 남북간 격차를 줄이고 이질성을 축소해서 소프트랜딩(연착륙)을 하는 것이야 말로 통일의 가장 효과적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 전 대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관련해선 “우리 어린 학생들이 편향되지 않은 역사교육을 받을 권리를 갖고 있다”며 “기성세대는 편향적이지 않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담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가의 역할은 학계 최고 권위자들이 역사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편찬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이것이 국가의 역할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7일 키맵대 강연을 위해 출국한 손 전 대표는 당초 같은 달 31일 귀국 예정이었으나 현지 체류 기간이 늘어난 것과 관련, “중앙아시아에 간 김에 실크로드를 밟아보고 싶었다"며 "중국에서 ‘일대일로(一帶一路)’정책으로 중앙아시아뿐만 아니라 남해를 통해 유럽에 진출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는데, ‘일대일로’정책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는 걸 볼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인천공항에서 곧 바로 강진으로 향한 손 전 대표는 ‘강진에 언제까지 머물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강진에 있는 산이 나보고 ‘더 이상 너 지겨우니 못 있겠다. 나가버려라’고 하면 할 수 없고…”라며 여운을 남기는 답변을 했다.
이날 인천공항 귀국장에는 부인 이윤영 여사와 송태호 동아시아미래재단 이사장이 나와 손 전 대표를 맞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