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과 재벌의 천박한 ‘특권의식’

    고하승 칼럼 / 고하승 / 2015-11-04 15:58:42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하승


    요즘 일반인들은 감히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정치인들의 천박한 특권의식, 그리고 재벌들의 ‘슈퍼갑질’이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우선 국회의원들의 특권의식은 여론의 뭇매를 맞는 단골메뉴가 된지 오래다.

    특히 올해는 역대 국회 최악의 국감이라는 언론의 혹평까지 나왔다. 오죽하면 ‘국감무용론’이나 ‘국감폐지론’이니 하는 제목의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겠는가.

    그런데도 국회의원들은 ‘선출된 헌법기관’이라는 특권의식에만 사로잡혀 있다. 국감에서는 이들이 ‘슈퍼갑’이다. 피감기관장들 위에 군림하는 모습과 호통을 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신들의 존재감을 드러내려 한다. 이제는 그런 모습이 아예 전통처럼 굳어져버린 것 같다.

    국민들이 그런 국회의원 수를 늘인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새정치민주연합이 국회의원 숫자를 300명에서 3명 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여론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현재 민심은 국회의원을 단 명도 늘릴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국회의원들보다 한 술 더 뜨는 특권 정치인들이 있다.

    바로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과 새누리당 소속 남경필 경기도지사다.

    박 시장과 남 지사는 정부에 부시장과 부지사의 증원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현행 3명인 부시장 수를 7명으로 늘이고 3급 이상 행정기구의 수도 23개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한다.

    어디 그 뿐인가. 시장 보좌기구는 14개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는 소리도 들린다. 특히 2012년에 2명에 불과했던 서울시 소속 변호사는 현재 24명으로 대폭 증가한 상태다.

    물론 박원순 시장 개인 사비(私費)가 아닌 서울시의 시비(市費), 즉 서울시민들의 혈세가 그만큼 많이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국회의원 수 단 한명의 증가도 용납하지 않는 민심이 과연 박 시장의 이런 특권의식에 사로잡힌 계획을 용납할지 의문이다.

    남경필 지사도 특권의식을 내세우는 모습은 박 시장과 ‘도토리 키 재기’다.

    실제로 그는 취임 후 5번이나 ‘경기특별도’설치를 요청한 바 있다. 한마디로 경기도지사의 권한과 지위를 서울시장 수준으로 인정해달라는 요구인 셈이다.

    그러면서 남 지사는 "인구 200만명 이상 되는 광역단체는 2명정도 부단체장 인원을 늘리고, 200만명이 안 되는 광역단체에는 1명을 늘리는 것이 적절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즉 경기도는 현재 2명이 정원인 부단체장을 2명 더 늘려 모두 4명이 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이런 요구를 국민이 어떻게 생각할까?

    당장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화성갑)으로부터 반대의 목소리가 나왔다.

    서 최고위원은 지난달 실시된 경기도 국감에서 “서울시에서 현재 3명인 부시장을 7명으로 늘리는 계획을 발표했다. 경기도에서도 부지사를 3명에서 5명으로 늘린다고 하는데 국민정서에 맞겠느냐”고 질책했다.

    정치인들만 이런 특권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게 아니다.

    재벌들의 슈퍼갑질도 문제다.

    최근 SBS 방송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VIP라 일컬어지는 일부 재벌3세들의 특권과 그릇된 인식을 파헤쳤다.

    방송에 국내 굴지 기업의 수행기사를 맡았던 제보자들이 출연해 우리나라 재벌들의 충격적인 실체를 폭로했는데 그들의 특권의식은 상상을 초월했다.

    한 수행비서는 “회사에서 매뉴얼을 준다”라며 “운전할 때 가속 페달은 어떻게 밟아야 하는지 차량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적혀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제작진이 입수한 VIP 매뉴얼에는 ‘양 손을 뻗어 핸들에 손목 위치’‘핸들 파지는 왼손 9시 방향, 오른손 3시 방향’‘오너 문자에는 10초 안에 대답하기’등의 내용이 상세하게 적혀 있었다. 또한 ‘사이드 미러를 접고 주행하는 연습 필요’라는 문구도 적혀있었다고 한다.

    수행비서들에게 그런 특별 메뉴얼은 법보다 더 위의 것으로 다가온다고 한다.

    심지어 어느 수행비서는 “한 대에 10만원씩 10대를 맞아라. 퇴근 때 100만원을 정산해 주겠다고 하더라.”라는 충격적인 고백을 하기도 했다.

    ’특권’뒤에 숨어 이렇듯 법의 테두리를 넘나드는 재벌들의 천박한 행태를 과연 국민들이 용납해 줄까?

    적어도 정치 지도자라면, 그리고 가진 자들이라면 특권의식을 내려놓고 국민들 앞에 겸손히 다가서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사회지도층들이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지는 못할망정 ‘천박한 특권의식’에 사로잡혀 나내는 꼴이란 정말 꼴불견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