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호남 지지율이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자 당내 비노 진영은 ‘문재인 사퇴론’을 재점화하고 나섰다.
15일 여론조사 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문 대표의 호남 지지율은 5%로 1위인 박원순 서울시장(26%)과 2위 안철수 의원(14%)에 비해 큰 격차를 보였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9%)에게도 밀렸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물론 이 여론조사의 응답자 수가 92명에 불과하고 표본오차도 일반 여론조사에 비해 ?%로 너무 크기 때문에 조사의 정확도가 높은 것 아니다”라면서도 “그러나 문 대표 지지율이 우리당 텃밭인 호남에서 사실상 '바닥'을 찍은 것이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넘길 사안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 전북도당 위원장인 유성엽 의원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충격적”이라며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김동철 의원(광주 광산갑)은 "지역민들이 문 대표는 물론 새정치민주연합을 버렸다는 의미"라며 "문 대표가 살신성인의 자세로 당 대표에서 물러나고 국민적 기대와 지지가 있는 분들이 새 지도부를 구성,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총선 승리는 물론 정권교체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사실상 문 대표의 퇴진을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지원 의원(전남 목포)도 전날 자신의 트위터에 "문재인 대표의 차기 대권후보 적합도가 호남에서 5%란 내용에 충격"이라면서 "92%의 지지를 받던 광주, 90%였던 전·남북에서 8%에서 다시 5% 도저히 믿기지 않는다"는 글을 올렸다.
수도권 의원들도 동요하고 있다.
경기도 지역구의 모 의원은 “호남 민심 이탈이 호남 출향민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고, 결과적으로 수도권 판세에도 여파를 미칠 것”이라며 “문 대표가 일선에서 물러나는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노 진영 역시 ‘문재인 체제’의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노 진영은 지난 9월 이후 비주류 진영과 몇 차례 정면충돌했지만 모두 승리했다.
실제 지난 9월 비노 의원들이 공천혁신안에 반발하며 중앙위원회 집단 퇴장을 사전 결의했지만 행동에 나선 의원은 손꼽을 정도였다. 특히 최규성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법제화의 당론 채택을 요구하며 지난 12일 정책의원총회를 소집했으나 정족수 부족으로 표결조차 못했다.
15일 여론조사 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문 대표의 호남 지지율은 5%로 1위인 박원순 서울시장(26%)과 2위 안철수 의원(14%)에 비해 큰 격차를 보였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9%)에게도 밀렸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물론 이 여론조사의 응답자 수가 92명에 불과하고 표본오차도 일반 여론조사에 비해 ?%로 너무 크기 때문에 조사의 정확도가 높은 것 아니다”라면서도 “그러나 문 대표 지지율이 우리당 텃밭인 호남에서 사실상 '바닥'을 찍은 것이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넘길 사안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 전북도당 위원장인 유성엽 의원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충격적”이라며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김동철 의원(광주 광산갑)은 "지역민들이 문 대표는 물론 새정치민주연합을 버렸다는 의미"라며 "문 대표가 살신성인의 자세로 당 대표에서 물러나고 국민적 기대와 지지가 있는 분들이 새 지도부를 구성,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총선 승리는 물론 정권교체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사실상 문 대표의 퇴진을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지원 의원(전남 목포)도 전날 자신의 트위터에 "문재인 대표의 차기 대권후보 적합도가 호남에서 5%란 내용에 충격"이라면서 "92%의 지지를 받던 광주, 90%였던 전·남북에서 8%에서 다시 5% 도저히 믿기지 않는다"는 글을 올렸다.
수도권 의원들도 동요하고 있다.
경기도 지역구의 모 의원은 “호남 민심 이탈이 호남 출향민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고, 결과적으로 수도권 판세에도 여파를 미칠 것”이라며 “문 대표가 일선에서 물러나는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노 진영 역시 ‘문재인 체제’의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노 진영은 지난 9월 이후 비주류 진영과 몇 차례 정면충돌했지만 모두 승리했다.
실제 지난 9월 비노 의원들이 공천혁신안에 반발하며 중앙위원회 집단 퇴장을 사전 결의했지만 행동에 나선 의원은 손꼽을 정도였다. 특히 최규성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법제화의 당론 채택을 요구하며 지난 12일 정책의원총회를 소집했으나 정족수 부족으로 표결조차 못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