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만으로는 힘들지만, 文 없이도 안 된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야권의 대표적 영남 인사이자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는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18일 자신의 신당 참여설을 거듭 일축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신당에 대한 고민보다는 야권의 재구성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그는 이날 오후 열리는 무소속 천정배 의원의 창당추진위원회(창추위) 출범식에서 참석, 축사를 하는 것에 대해 "신당(참여)에 대한 고민이라고 많이 보도를 하는데 축사만 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천정배 의원으로부터 신당 참여 권유를 받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신당 참여 권유는 몇 차례 받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제가 또 새정치연합의 김포시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고, 또 새정치민주연합이 혁신을 이뤄내고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해 탈당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다만 그는 “지금까지는 총선이나 재보선, 또 지방선거 등에서 정치는 결과가 말해주기 때문에 역대 당대표들이 많은 책임을 져왔다”며 “문재인 체제만으로는 총선승리가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국민들과 우리 당원들의 시각”이라며 현 지도부체제의 변화를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당원들을 만나보면 문재인만으로도 총선을 치르기 힘들지만 문재인이 없어도 안 된다는 이런 입장”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문-안-박 연대가 될지 아니면 다른 지도체제가 될지 모르지만 어째든 지금 체제만으로는 승리가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라고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당 혁신위가 제시한 '하위 20% 공천배제'와 관련, "국회의원들 평가는 기본적으로 유권자와 시민들이 하는 것인데 당이 평가위원회를 구성해서 20%를 컷오프 시키는 것이 사실은 민주정당에서 바람직한 것 같진 않다"고 부정평가 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조국 교수가 말했듯, 3~4선까지 하면서도 자기 정치를 보여주지 못하고, 국회의원을 계속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당에서 냉정한 평가를 해서 대대적인 혁신을 해야 된다'는 이런 주장이 훨씬 더 설득력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야권의 대표적 영남 인사이자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는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18일 자신의 신당 참여설을 거듭 일축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신당에 대한 고민보다는 야권의 재구성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그는 이날 오후 열리는 무소속 천정배 의원의 창당추진위원회(창추위) 출범식에서 참석, 축사를 하는 것에 대해 "신당(참여)에 대한 고민이라고 많이 보도를 하는데 축사만 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천정배 의원으로부터 신당 참여 권유를 받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신당 참여 권유는 몇 차례 받았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제가 또 새정치연합의 김포시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고, 또 새정치민주연합이 혁신을 이뤄내고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해 탈당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다만 그는 “지금까지는 총선이나 재보선, 또 지방선거 등에서 정치는 결과가 말해주기 때문에 역대 당대표들이 많은 책임을 져왔다”며 “문재인 체제만으로는 총선승리가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국민들과 우리 당원들의 시각”이라며 현 지도부체제의 변화를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당원들을 만나보면 문재인만으로도 총선을 치르기 힘들지만 문재인이 없어도 안 된다는 이런 입장”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문-안-박 연대가 될지 아니면 다른 지도체제가 될지 모르지만 어째든 지금 체제만으로는 승리가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라고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당 혁신위가 제시한 '하위 20% 공천배제'와 관련, "국회의원들 평가는 기본적으로 유권자와 시민들이 하는 것인데 당이 평가위원회를 구성해서 20%를 컷오프 시키는 것이 사실은 민주정당에서 바람직한 것 같진 않다"고 부정평가 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조국 교수가 말했듯, 3~4선까지 하면서도 자기 정치를 보여주지 못하고, 국회의원을 계속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당에서 냉정한 평가를 해서 대대적인 혁신을 해야 된다'는 이런 주장이 훨씬 더 설득력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