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장(國家葬)으로 치러진다.
서거일(22일)로부터 오는 26일까지 5일장으로 치러지며, 김 전 대통령의 유해는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다.
장의(葬儀)위원장은 황교안 국무총리가 맡는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 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계획안'을 심의ㆍ의결했다.
계획안은 이날 중 박근혜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시행될 전망이다.
장의 명칭은 '고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으로 하고, 장례 기간은 서거일인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이다.
장의위원장은 그간의 관례와 유족의 의견을 존중해 황 총리가, 장례집행위원장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각각 맡는다.
영결식은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열리며, 안장식은 영결식 종료 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된다.
또 국민 모두가 함께 추모할 수 있도록 전국 각지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국가장 기간 국기를 조기로 게양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국회의사당에 대표 분향소를 설치ㆍ운영한다.
전국 각지의 분향소는 유족과 협의해 설치하고, 해외 교민과 친분 있는 외국 인사들을 위한 재외공관 분향소도 꾸린다.
국가장의 원활한 집행을 위해 정재근 행자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추진단이 구성된다.
실무추진단에서는 영결식과 안장식의 준비, 유족 지원, 분향소 지원, 식장 안내ㆍ설치, 홍보, 상황유지 등 제반 실무 업무를 담당한다.
서거일(22일)로부터 오는 26일까지 5일장으로 치러지며, 김 전 대통령의 유해는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다.
장의(葬儀)위원장은 황교안 국무총리가 맡는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 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계획안'을 심의ㆍ의결했다.
계획안은 이날 중 박근혜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시행될 전망이다.
장의 명칭은 '고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으로 하고, 장례 기간은 서거일인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이다.
장의위원장은 그간의 관례와 유족의 의견을 존중해 황 총리가, 장례집행위원장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이 각각 맡는다.
영결식은 26일 오후 2시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열리며, 안장식은 영결식 종료 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된다.
또 국민 모두가 함께 추모할 수 있도록 전국 각지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국가장 기간 국기를 조기로 게양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국회의사당에 대표 분향소를 설치ㆍ운영한다.
전국 각지의 분향소는 유족과 협의해 설치하고, 해외 교민과 친분 있는 외국 인사들을 위한 재외공관 분향소도 꾸린다.
국가장의 원활한 집행을 위해 정재근 행자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실무추진단이 구성된다.
실무추진단에서는 영결식과 안장식의 준비, 유족 지원, 분향소 지원, 식장 안내ㆍ설치, 홍보, 상황유지 등 제반 실무 업무를 담당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