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세비 동결이나 삭감을 외치던 국회의원들이 한마음으로 내년도 세비 인상에 합의했다가 여론에 밀려 꼬리를 내리는 모양새다.
26일 국회 사무처에 따르면 운영위원회는 지난 17일 전체회의에서 의원 세비를 구성하는 일반수당과 입법활동비 중 일반수당을 3.0% 올리는 내용의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로 넘겼다.
예산안이 본회의에서 의결되면 일반수당은 월 646만원에서 665만원으로 19만원 올라 전체 세비는 동결된 입법활동비까지 포함해서 1억424만원, 2.0% 인상하게 된다.
이에 '말 따로 행동 따로'인 국회의원들의 이중행태를 비난여론이 고조되자 국회 예결특위 야당 간사인 안민석 의원은 세비인상을 백지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의원은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오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있는 날인데 국회의원들이 욕먹는 이야기로 볼썽사나운 모습이 일어나선 안된다"며 "예산 심의과정에서 3% 인상안은 전액 삭감하겠다는 야당의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의원들이 국민께 모범적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여당 간사인 김성태 의원을 만나 전액 삭감안에 대한 동의를 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운영위에서 야야 합의통과된 세비 인상안을 예결위 단계에서 백지화시키겠다는 뜻이다.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도 "2013년부터 의원 세비는 3년연속 동결해왔고, 우리당은 그 취지에 십분 공감하며 올해 역시 동결하는 것이 맞다”고 가세했다.
그러면서 “운영위 예산심사과정에서 우리는 이와 관련해 어떠한 설명도 듣지 못하고, 세부사항 보고도 없이 총액만 표결했기에 결국 정부가 판단한 원안대로 예결위에 넘어간 상태”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원내수석부대표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세비인상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하기엔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다.
운영위에선 여야 가리지 않고 다수 의원이 국회 인턴직원과 무기계약직 처우개선을 요구했으며, 이 과정에서 공무원 일반수당 3% 인상이라는 기본전제도 인지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26일 국회 사무처에 따르면 운영위원회는 지난 17일 전체회의에서 의원 세비를 구성하는 일반수당과 입법활동비 중 일반수당을 3.0% 올리는 내용의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해 예산결산특별위원회로 넘겼다.
예산안이 본회의에서 의결되면 일반수당은 월 646만원에서 665만원으로 19만원 올라 전체 세비는 동결된 입법활동비까지 포함해서 1억424만원, 2.0% 인상하게 된다.
이에 '말 따로 행동 따로'인 국회의원들의 이중행태를 비난여론이 고조되자 국회 예결특위 야당 간사인 안민석 의원은 세비인상을 백지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의원은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오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있는 날인데 국회의원들이 욕먹는 이야기로 볼썽사나운 모습이 일어나선 안된다"며 "예산 심의과정에서 3% 인상안은 전액 삭감하겠다는 야당의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의원들이 국민께 모범적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여당 간사인 김성태 의원을 만나 전액 삭감안에 대한 동의를 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운영위에서 야야 합의통과된 세비 인상안을 예결위 단계에서 백지화시키겠다는 뜻이다.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도 "2013년부터 의원 세비는 3년연속 동결해왔고, 우리당은 그 취지에 십분 공감하며 올해 역시 동결하는 것이 맞다”고 가세했다.
그러면서 “운영위 예산심사과정에서 우리는 이와 관련해 어떠한 설명도 듣지 못하고, 세부사항 보고도 없이 총액만 표결했기에 결국 정부가 판단한 원안대로 예결위에 넘어간 상태”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원내수석부대표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세비인상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하기엔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다.
운영위에선 여야 가리지 않고 다수 의원이 국회 인턴직원과 무기계약직 처우개선을 요구했으며, 이 과정에서 공무원 일반수당 3% 인상이라는 기본전제도 인지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