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철수 의원은 자꾸 ‘양보’라고 말하는데, 사실은 양보가 아니라 혼자선 서울시장이나 대통령 깜냥이 안 되니까 눈치 보다가 물러선 거다. 또 신당 창당 역시 독자세력으로는 도저히 안 되니까 자기가 스스로 민주당과 합당한 거 아니냐. ‘툭’하면 발 빼는 그런 게 무슨 양보냐. 오히려 정치인으로서 책임감이 없는 태도 아니냐.”
이는 골수 야당 지지자이자 부산 출신인 어느 지인이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의 행보가 실망스럽다며 내뱉은 말이다.
안 의원은 최근 "2011년 한나라당의 확장을 반대했기에 서울시장 후보직을 양보했고, 2012년 정권교체를 위해 대통령후보직도 양보했으며, 2014년 창당을 포기하고 민주당과 통합하여 지방선거를 돌파해 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그게 ‘양보’가 아니라 ‘깜냥’이 못돼서 스스로 발을 뺀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인은 문재인 대표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다.
“부산에서는 문재인 대표를 뭐라고 부르는 줄 아느냐. ‘박재인’이라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보고 ‘불통’이라고 하는데, 문 대표는 더하다. 이런저런 말로 그럴듯하게 포장하지만 결론은 절대로 자기는 대표직에서 물러나지 않겠다는 거 아니냐. 대단한 고집불통이다. 그래서 부산사람들은 문재인을 ‘박재인’이라고 부른다.”
그의 말대로 ‘툭’하면 발을 빼는 안 의원과 ‘고집불통’인 문 대표가 이번에 정면충돌했다.
그러면 누가 이길까?
단 한 번도 끝을 본 적이 없는 사람과 반드시 끝을 보고야마는 사람이 맞붙는다면, 그 싸움의 결과는 보나 마나 아닐까?
안철수 의원은 문재인 대표로부터 혁신 전당대회 제안을 연거푸 거절당하자 스스로를 ‘또 철수’가 아니라 ‘강철수(강한 철수)’로 규정하면서 예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그 일환으로 지난 7일부턴 일체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지방 칩거에 들어가기도 했다. 마치 전남 강진에서 칩거 중인 손학규 전 민주통합당 대표를 벤치마킹하는 듯 보였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내부에선 안 의원이 결국 이번에도 중도하차를 선언하게 될 것이라며 은근히 ‘조롱’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문재인 대표마저 “안철수 의원이 대표할 때 혁신이 제대로 되었느냐”고 비아냥거릴 정도니, 다른 친노계 의원들은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문 대표는 안 의원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서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안 의원이 조만간 자신의 뜻을 중도에서 철회하고 ‘양보’ 운운하며 돌아올 것이란 믿음이 바탕에 깔려 있지 않고서야 이토록 당당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사실 안 의원의 제의를 세 차례나 연거푸 거부했던 문 대표가 이제 와서 혁신전대를 다시 수용할 가능성은 0%에 가깝다. 그렇다면 안 의원의 선택은 ‘탈당’아니면 ‘항복’둘 중에 하나다. 안 의원이 정말 자신이 언급한 대로 ‘강철수’가 되든지, 아니면 언론에서 붙여준 별명처럼 ‘또 철수’가 되든지 양자택일을 해야 한다는 말이다. 과연 안 의원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주고받는 술잔에 제법 취기가 오른 지인은 이렇게 말했다.
“안철수가 부산내려가기 전에 문재인에게 자신이 제안한 혁신 전당대회 카드를 다시 검토해달라고 했다. 안 된다고 했는데 또 들이민 거다. 그리고는 다음날 생각을 정리한다며 부산으로 내려갔고, 거기서 문재인의 응답을 기다렸다. 문이 예상보다 빨리 반응했다. 관훈토론회에 참석한 문이 혁신 전당대회를 수용할 수 없다고 확실하게 못 박은 거다. 그것도 모자라 문재인은 ‘다시 새로운 제안을 내놓을 시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확인사살까지 했다. 이제 공은 안에게 넘어갔다. 어떤 선택을 할까? 뭐 고민하고 생각하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이 그냥 ‘또철수’가 되는 것이다.”
물론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정치평론가도 아니고, 일반 유권자에 불과한 그의 말은 상당한 울림이 있었다. 그 자리에 동석한 이들 상당수가 공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안 의원이 이번만큼은 ‘또 철수’가 되는 선택을 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자신이 호언장담했던 ‘강철수’는 못되더라도 한 때 유력한 대권주자였던 정치인이 조롱거리로 전락하는 불행한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나저나 ‘박재인’과 ‘또 철수’라는 그들의 별명도 기가 막히지만, 그 기막힌 싸움을 속절없이 지켜봐야 하는 유권자들의 짜증스런 마음을 조금이나마 헤아려주기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