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본선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 줄 수 있어”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내홍으로 분당위기에 처한 야당에 이어 여당 역시 총선 후보 경선룰을 둘러싼 친박-비박 간 신경전이 예사롭지 않다.
경선에서 과반득표를 얻는 후보가 없으면 1, 2등이 결선투표를 하자는 친박계 주장에 대해 비박계는 현역 물갈이를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친박계 김재원 의원은 10일 결선투표 제도 의미와 관련 “과반수 득표자가 없는 경우 1, 2위 후보자를 대상으로 다시 투표해서 (과반을 넘긴) 득표자를 당선자로 선정하는 제도를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민주적 정당성을 높이자는 의미에서 결선투표제가 있는 것이고 세계 각국에서 도입된 결선투표는 바로 그런 의미”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오차범위 내에서만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고 비박계 주장에 대해 “오차 범위라는 것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 하는 것도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반박했다.
특히 그는 김을동 최고위원이 ‘과반 적용 시, 전 지역구에서 결선투표를 하게 될 것’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공천신청한 모든 후보자들을 전부 경선에 참여시킨다는 전제에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데, 우리 당헌당규상 통상적으로 공천위원회가 여론조사 등을 통해서 후보자 압축작업을 하게 돼 있다”며 “예를 들어서 2명 내지 3명으로 압축해서 경선에 참여시킨다면 결선투표를 해야 할 곳이 많이 안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일축했다.
김 의원은 전략공천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도 우선추천제에 대해선 제한적 운영을 전제로그 필요성을 인정했다.
그는 “우선추천제도는 경선까지 해서 후보자를 선정할 필요가 없는 지역, 예컨대 우리 당 후보자들의 경쟁력이 워낙 낮은 지역이나 특별히 이 지역에 대해서는 여성이나 정치적 소수자인 장애인 등을 꼭 공천을 하겠다고 해서 정치적 소수자에 대한 배려를 위한 선거구라든가 이런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이것을 일반적인 개념으로 확대해서 추천하겠다고 하는 건 당헌당규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경선 과정에서 도입을 검토 중인 결선투표제와 관련, “당헌당규에도 없고 본선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해 “결선 투표제가 불필요한 이합집산을 일으킨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여성이나 장애인, 호남처럼 후보자가 없는 지역 등에 한해 적용하는 게 우선추천제”라며 “서울 강남권이나 영남권 등까지 우선추천으로 분류해 공천하면 그게 곧 전략공천이 된다. 이는 수용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경선 여론조사 비율에 대해서도 “김무성 대표가 국민공천제를 약속했고 이를 당론으로도 정했다”며 “국민참여 비율을 높여서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는 모습을 확인시켜줘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내홍으로 분당위기에 처한 야당에 이어 여당 역시 총선 후보 경선룰을 둘러싼 친박-비박 간 신경전이 예사롭지 않다.
경선에서 과반득표를 얻는 후보가 없으면 1, 2등이 결선투표를 하자는 친박계 주장에 대해 비박계는 현역 물갈이를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친박계 김재원 의원은 10일 결선투표 제도 의미와 관련 “과반수 득표자가 없는 경우 1, 2위 후보자를 대상으로 다시 투표해서 (과반을 넘긴) 득표자를 당선자로 선정하는 제도를 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민주적 정당성을 높이자는 의미에서 결선투표제가 있는 것이고 세계 각국에서 도입된 결선투표는 바로 그런 의미”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오차범위 내에서만 결선투표를 해야 한다’고 비박계 주장에 대해 “오차 범위라는 것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 하는 것도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반박했다.
특히 그는 김을동 최고위원이 ‘과반 적용 시, 전 지역구에서 결선투표를 하게 될 것’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공천신청한 모든 후보자들을 전부 경선에 참여시킨다는 전제에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데, 우리 당헌당규상 통상적으로 공천위원회가 여론조사 등을 통해서 후보자 압축작업을 하게 돼 있다”며 “예를 들어서 2명 내지 3명으로 압축해서 경선에 참여시킨다면 결선투표를 해야 할 곳이 많이 안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일축했다.
김 의원은 전략공천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도 우선추천제에 대해선 제한적 운영을 전제로그 필요성을 인정했다.
그는 “우선추천제도는 경선까지 해서 후보자를 선정할 필요가 없는 지역, 예컨대 우리 당 후보자들의 경쟁력이 워낙 낮은 지역이나 특별히 이 지역에 대해서는 여성이나 정치적 소수자인 장애인 등을 꼭 공천을 하겠다고 해서 정치적 소수자에 대한 배려를 위한 선거구라든가 이런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이것을 일반적인 개념으로 확대해서 추천하겠다고 하는 건 당헌당규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경선 과정에서 도입을 검토 중인 결선투표제와 관련, “당헌당규에도 없고 본선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해 “결선 투표제가 불필요한 이합집산을 일으킨다”며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여성이나 장애인, 호남처럼 후보자가 없는 지역 등에 한해 적용하는 게 우선추천제”라며 “서울 강남권이나 영남권 등까지 우선추천으로 분류해 공천하면 그게 곧 전략공천이 된다. 이는 수용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경선 여론조사 비율에 대해서도 “김무성 대표가 국민공천제를 약속했고 이를 당론으로도 정했다”며 “국민참여 비율을 높여서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는 모습을 확인시켜줘야 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