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의 김부겸 전 의원이 23일 문재인 대표의 리더십을 비판하면서도 “정치는 잔 계산으로 하면 안된다”며 자신의 탈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 “얼마나 정치인에 대해서 불신이 많은가 짐작이 간다. 국민이나 당지지자들에게 할 말이 없지만 이런 질문을 받는 게 부끄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안철수 의원으로부터 (신당합류를)제안 받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그런 일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또 탈당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김한길 의원에 대해선 ”그분은 우리당을 이끌었던 당 대표를 하던 분이고, 다른 의원들처럼 섣불리 행동을 안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광주 의원들의 탈당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선 “호남 민심 자체가, 새정치연합이 안주하는 것은 용납못하겠다(는것)“이라면서 ”우리당에 대해 채찍 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특히 김 전 의원은 “문 대표가 한 박자 느리다”며,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번 정동영 찾아가는 정치를 안 의원이 남아 있을 때 조금 더 적극적으로 했다면, 이런 일(탈당)이 터지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았겠냐“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정의당과의 합당가능성에 대해서는 “새누리당이 보수를 대표했다면 저희당은 자유주의+ 진보정책 융합된 정책을 내놓는 당”이라면서, “지금 형편이 어렵다고 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쉽게 변화시키는 건 신중해야 된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아울러 “정의당은, 명확히 진보정당”이라면서, “비전에 있어서 확실히 차이가 있다. 그분들의 입장이 바뀔 것 같지 않고, 우리당이 변신을 해야 되는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안철수 의원 측의 3자 필승론에 대해선 "어떤 분들은 분열해도 여소야대가 된다, 이런 무책임한 말을 하더라"며 "3김 시대처럼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같이 이런 정치적인 거물이 계실 때는 그 분들이 다시 구심력을 행사해서 문제를 다시 풀 수 있지만 지금은 그럴 수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각자 제 갈 길 가자, 그리고 적당한 때 손잡으면 된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는 2등과 3등을 합치는 게 1등보다 많다는 얘기"라면서 "선거공학상 그건 아무 의미가 없는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 “얼마나 정치인에 대해서 불신이 많은가 짐작이 간다. 국민이나 당지지자들에게 할 말이 없지만 이런 질문을 받는 게 부끄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안철수 의원으로부터 (신당합류를)제안 받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그런 일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또 탈당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김한길 의원에 대해선 ”그분은 우리당을 이끌었던 당 대표를 하던 분이고, 다른 의원들처럼 섣불리 행동을 안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광주 의원들의 탈당이 이어지는 것과 관련해선 “호남 민심 자체가, 새정치연합이 안주하는 것은 용납못하겠다(는것)“이라면서 ”우리당에 대해 채찍 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특히 김 전 의원은 “문 대표가 한 박자 느리다”며,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번 정동영 찾아가는 정치를 안 의원이 남아 있을 때 조금 더 적극적으로 했다면, 이런 일(탈당)이 터지는 것을 막을 수 있지 않았겠냐“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정의당과의 합당가능성에 대해서는 “새누리당이 보수를 대표했다면 저희당은 자유주의+ 진보정책 융합된 정책을 내놓는 당”이라면서, “지금 형편이 어렵다고 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쉽게 변화시키는 건 신중해야 된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아울러 “정의당은, 명확히 진보정당”이라면서, “비전에 있어서 확실히 차이가 있다. 그분들의 입장이 바뀔 것 같지 않고, 우리당이 변신을 해야 되는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안철수 의원 측의 3자 필승론에 대해선 "어떤 분들은 분열해도 여소야대가 된다, 이런 무책임한 말을 하더라"며 "3김 시대처럼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같이 이런 정치적인 거물이 계실 때는 그 분들이 다시 구심력을 행사해서 문제를 다시 풀 수 있지만 지금은 그럴 수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각자 제 갈 길 가자, 그리고 적당한 때 손잡으면 된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는 2등과 3등을 합치는 게 1등보다 많다는 얘기"라면서 "선거공학상 그건 아무 의미가 없는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