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서재빈 기자]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정부세종청사 이용승객의 편의제공을 위해 대합실, 무인매표소, 화장실, 매점 등이 포함된 고속ㆍ시외버스 승강장(이하 승강장)을 이전ㆍ건립한다고 26일 밝혔다.
26일 세종시에 따르면 이번 승강장 이전ㆍ건립은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3.0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그동안 정부세종청사를 방문하는 방문객과 공무원들의 국회 등 지역 외 출장을 위해 종합안내동 앞 무인매표기와 승강장을 설치ㆍ운영 중이었지만 장소가 협소하고 화장실이 없어 이용객들의 불편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세종시는 지난 2015년 3회 추경시 의회의 협조로 2억5900만원 예산을 확보했고 행복청은 승강장 위치 및 건축협의 등를 지원해 신속하게 건립 할 예정이다.
세종시와 행복청은 이러한 불편을 개선해 이용승객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이고자 현재 위치에서 약 100m 이동한 곳(세종시 어진동 562번지 일원)에 오는 7월1일 개소를 목표로 승강장을 이전ㆍ건립할 계획이다.
승강장은 약 110㎡ 규모로 추위와 눈바람 등을 피하기 위한 대합실과 매점, 수유실 등이 포함되며, 노약자와 장애인(단차해소 등 무장애시설 설치) 및 여성을 배려해 편의성이 최대한 고려될 예정이다.
또한 대합실은 내ㆍ외부를 살펴볼 수 있도록 시야 확보와 개방감 및 안전성을 충분히 갖출 계획이며, 승강장을 특색 있게 디자인해 주변 및 도로경관과 어울리도록 할 계획이다.
지종철 시 건설도시국장은 “이번 승강장 이전ㆍ신축사업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는 물론 이용승객의 편의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편의시설 확충에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6일 세종시에 따르면 이번 승강장 이전ㆍ건립은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3.0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그동안 정부세종청사를 방문하는 방문객과 공무원들의 국회 등 지역 외 출장을 위해 종합안내동 앞 무인매표기와 승강장을 설치ㆍ운영 중이었지만 장소가 협소하고 화장실이 없어 이용객들의 불편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세종시는 지난 2015년 3회 추경시 의회의 협조로 2억5900만원 예산을 확보했고 행복청은 승강장 위치 및 건축협의 등를 지원해 신속하게 건립 할 예정이다.
세종시와 행복청은 이러한 불편을 개선해 이용승객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이고자 현재 위치에서 약 100m 이동한 곳(세종시 어진동 562번지 일원)에 오는 7월1일 개소를 목표로 승강장을 이전ㆍ건립할 계획이다.
승강장은 약 110㎡ 규모로 추위와 눈바람 등을 피하기 위한 대합실과 매점, 수유실 등이 포함되며, 노약자와 장애인(단차해소 등 무장애시설 설치) 및 여성을 배려해 편의성이 최대한 고려될 예정이다.
또한 대합실은 내ㆍ외부를 살펴볼 수 있도록 시야 확보와 개방감 및 안전성을 충분히 갖출 계획이며, 승강장을 특색 있게 디자인해 주변 및 도로경관과 어울리도록 할 계획이다.
지종철 시 건설도시국장은 “이번 승강장 이전ㆍ신축사업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는 물론 이용승객의 편의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편의시설 확충에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