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당헌당규 벗어난다” 격노...정병국 하태경 지원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은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비박계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을 둘러싼 친박계 간 공천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17일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전날 20대 총선 공천에 사실상의 전략공천으로 활용될 수 있는 '우선·단수추천제'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당헌·당규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힘을 실어 주었다.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원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우리 당헌·당규에서 새누리당 후보를 공천하는 기준이 여러 형태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 맞춤형으로 특성에 맞게끔 공천을 하는 방식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전날 ▲모든 광역시·도에서 우선추천지역 1~3곳 선정 ▲후보간 이견 시 100% 국민여론조사 실시 ▲현역의원 부적격 심사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공천관리위 회의 내용을 발표했다.
이 같은 내용을 보고받은 김무성 대표는 "당헌당규에 벗어난다"며 격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친박계 핵심 김재원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한구 위원장은 모두 당헌당규의 절차에 명시돼 있는 내용을 말씀하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또 "최고위의 의결을 받아서 (우선추천지역 문제가) 확정되는 것이지만 최고위에서 의결하지 않고 재의요구를 하면 다시 공천관리위원회에서 3분의 2의 다수결로 의결하면 (확정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공천관리위원회에서는 당헌 당규상 명백히 우선추천제도가 있고 단수추천제도가 있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잘 활용해서 합리적인, 그리고 경선에서 승리하는 그런 공천을 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이라며 “어쨌든 이한구 위원장이 말씀하신 것도 우리 당의 당헌당규에 충실한 것으로 당헌당규상에 명백히 규정돼 있다”고 강조했다.
윤상현 의원도 전날 "선수는 룰을 따라 페어플레이를 하고 승리를 위해 뛰면 되는 것"이라며 "공천관리위원회가 정한 경선 방법에 대해 후보자가 일일이 가정을 달아 평하는 것은 적절한 모습이 아니다"라고 힘을 보탰다.
반면 비박계 정병국 의원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상향식 공천이라는 당헌 당규를 근본적으로 흔들어서는 안 된다”고 반대했다.
정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일단 당헌·당규는 상향식 공천”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그동안 공천 때마다 전략공천제라는 이름으로 공천학살을 해서 정치를 왜곡시켜왔다”며 “이로 인해 새누리당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주장하게 되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상향식 공천이 완벽한 제도라고는 볼 수 없지만 새로운 개혁을 하는데 그만큼 부담을 안고 대가를 치러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17개 광역시도별로 1∼3개 우선추천지를 선정하는 문제와 관련, “왜곡될 수 있다”며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박계 하태경 의원도 같은 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우선추천지역제도는 두 가지인데 제일 중요한 것은 새누리당 약세 지역에서 활용하겠다는 것"이라며 "새누리당 후보가 야당 후보에서 질 가능성이 있는 이런 지역에 우선추천지역제도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령 대구에서 우선추천지역제도를 하겠다고 하면 그건 당헌 당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2014년 초 당헌·당규를 개정해 여성과 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거나 후보자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은 경우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했다. 김 대표 측은 이 규정에 따라 새누리당 강세 지역은 우선추천지역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각종 언론 인터뷰에서 ‘현역 의원 물갈이’를 주장하면서 “김 대표가 자꾸 여기(공관위 활동)에 끼면 안 된다”고 맞받았다.
이에 따라 김 대표 측은 김 대표와 가까운 공관위원들을 통해 이 위원장의 전방위 우선추천제 활용 구상을 무산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설령 공관위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 우선추천 대상 지역이 선정돼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수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최고위 9명 위원 가운데 친박계가 6명으로 비박계보다 많아 이 위원장과 김 대표의 갈등이 증폭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은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비박계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을 둘러싼 친박계 간 공천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17일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전날 20대 총선 공천에 사실상의 전략공천으로 활용될 수 있는 '우선·단수추천제'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당헌·당규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힘을 실어 주었다.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원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우리 당헌·당규에서 새누리당 후보를 공천하는 기준이 여러 형태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 맞춤형으로 특성에 맞게끔 공천을 하는 방식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전날 ▲모든 광역시·도에서 우선추천지역 1~3곳 선정 ▲후보간 이견 시 100% 국민여론조사 실시 ▲현역의원 부적격 심사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공천관리위 회의 내용을 발표했다.
이 같은 내용을 보고받은 김무성 대표는 "당헌당규에 벗어난다"며 격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친박계 핵심 김재원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한구 위원장은 모두 당헌당규의 절차에 명시돼 있는 내용을 말씀하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또 "최고위의 의결을 받아서 (우선추천지역 문제가) 확정되는 것이지만 최고위에서 의결하지 않고 재의요구를 하면 다시 공천관리위원회에서 3분의 2의 다수결로 의결하면 (확정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공천관리위원회에서는 당헌 당규상 명백히 우선추천제도가 있고 단수추천제도가 있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잘 활용해서 합리적인, 그리고 경선에서 승리하는 그런 공천을 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이라며 “어쨌든 이한구 위원장이 말씀하신 것도 우리 당의 당헌당규에 충실한 것으로 당헌당규상에 명백히 규정돼 있다”고 강조했다.
윤상현 의원도 전날 "선수는 룰을 따라 페어플레이를 하고 승리를 위해 뛰면 되는 것"이라며 "공천관리위원회가 정한 경선 방법에 대해 후보자가 일일이 가정을 달아 평하는 것은 적절한 모습이 아니다"라고 힘을 보탰다.
반면 비박계 정병국 의원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상향식 공천이라는 당헌 당규를 근본적으로 흔들어서는 안 된다”고 반대했다.
정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일단 당헌·당규는 상향식 공천”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그동안 공천 때마다 전략공천제라는 이름으로 공천학살을 해서 정치를 왜곡시켜왔다”며 “이로 인해 새누리당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주장하게 되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상향식 공천이 완벽한 제도라고는 볼 수 없지만 새로운 개혁을 하는데 그만큼 부담을 안고 대가를 치러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17개 광역시도별로 1∼3개 우선추천지를 선정하는 문제와 관련, “왜곡될 수 있다”며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박계 하태경 의원도 같은 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우선추천지역제도는 두 가지인데 제일 중요한 것은 새누리당 약세 지역에서 활용하겠다는 것"이라며 "새누리당 후보가 야당 후보에서 질 가능성이 있는 이런 지역에 우선추천지역제도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령 대구에서 우선추천지역제도를 하겠다고 하면 그건 당헌 당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2014년 초 당헌·당규를 개정해 여성과 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거나 후보자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은 경우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했다. 김 대표 측은 이 규정에 따라 새누리당 강세 지역은 우선추천지역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각종 언론 인터뷰에서 ‘현역 의원 물갈이’를 주장하면서 “김 대표가 자꾸 여기(공관위 활동)에 끼면 안 된다”고 맞받았다.
이에 따라 김 대표 측은 김 대표와 가까운 공관위원들을 통해 이 위원장의 전방위 우선추천제 활용 구상을 무산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설령 공관위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 우선추천 대상 지역이 선정돼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수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최고위 9명 위원 가운데 친박계가 6명으로 비박계보다 많아 이 위원장과 김 대표의 갈등이 증폭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