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결연히 반대한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한미 양국의 한반도내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협의가 공식화되면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 갈등이 표면화 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 강경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반면 우리 정부는 사드 배치를 북핵 위협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결정하겠다고 맞서는 모양새를 보이면서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18일 "사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우리나라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것"이라며 "한미가 현재 공동실무단의 운영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안보 점검 긴급 당정협의에서 "국민 안전과 환경에 영향이 없도록 사드를 배치하겠다"며 "사드 포대 배치 부지는 공동실무단이 건의하고, 양국 정부가 승인 하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증대하는 핵ㆍ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조치는 그 어느 것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와 군은 이러한 입장에 기초해서 모든 것을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자주권적 차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지금 우리 사회에서 핵 무장 잠재력 보유, 또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 이런 담론이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은 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반해 중국 외교부는 지난 17일 대변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결연히 반대하며, 관련국이 이 계획을 포기하기를 희망한다"며 반대 입장 표명에 대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는 이보다 앞서 전날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이 한ㆍ중 외교차관 전략대화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중국의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며 "신중하게 행동하길 바란다"고 했던 것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다.
결국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연이은 도발에도 미온적 태도를 고수해 오던 중국이 한반도 사드배치 협의에 강경 반발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사드 배치에 대한 협의를 본격 시작하면서 갈등이 표면화 되는 모습이다.
따라서 중국과의 정치ㆍ안보적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무게를 뒀던 정부가 향후 중국의 강경 입장에 어떻게 대응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한미 양국의 한반도내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협의가 공식화되면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 갈등이 표면화 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 강경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반면 우리 정부는 사드 배치를 북핵 위협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결정하겠다고 맞서는 모양새를 보이면서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18일 "사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우리나라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것"이라며 "한미가 현재 공동실무단의 운영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안보 점검 긴급 당정협의에서 "국민 안전과 환경에 영향이 없도록 사드를 배치하겠다"며 "사드 포대 배치 부지는 공동실무단이 건의하고, 양국 정부가 승인 하에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증대하는 핵ㆍ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조치는 그 어느 것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와 군은 이러한 입장에 기초해서 모든 것을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자주권적 차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지금 우리 사회에서 핵 무장 잠재력 보유, 또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 이런 담론이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은 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반해 중국 외교부는 지난 17일 대변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결연히 반대하며, 관련국이 이 계획을 포기하기를 희망한다"며 반대 입장 표명에 대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는 이보다 앞서 전날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이 한ㆍ중 외교차관 전략대화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중국의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며 "신중하게 행동하길 바란다"고 했던 것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다.
결국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연이은 도발에도 미온적 태도를 고수해 오던 중국이 한반도 사드배치 협의에 강경 반발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사드 배치에 대한 협의를 본격 시작하면서 갈등이 표면화 되는 모습이다.
따라서 중국과의 정치ㆍ안보적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무게를 뒀던 정부가 향후 중국의 강경 입장에 어떻게 대응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