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청년비례 불공정 논란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6-03-17 12:27:59
    • 카카오톡 보내기
    당사자 후보사퇴에도 파문 확산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청년 비례대표 선정과 관련, 당 공천관리위원회 관계자 등이 특정 후보를 도운 정황이 드러나면서 특혜 당사자의 의 후보직 사퇴에도 불구하고 불공정 논란에 대한 반발기류가 점차 확산되는 모양새다.

    특혜 당사자로 지목된 최유진 예비후보는 16일 전국청년위원회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본의 아니게 논란의 소용돌이에 서게 됐다"며 "책임지고 후보를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최 예비후보는 공관위 관계자인 비례대표 담당 실무 당직자롭부터 면접준비를 지원받았을 뿐 아니라 국민의당 창당 발기인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예비후보 자격 여부를 두고도 구설이 일고 있다.

    더 민주의 청년 비례대표 경선에 대한 불공정 논란은 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의 7급 비서로 재직한 경력이 있는 김규완 한국미디어교육협회 정책기획실장이 경선 후보로 명단에 올랐으나 이런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공관위가 경선후보 자격을 박탈했던 것.

    이에 대해 청년비례대표 출신의 김광진 의원이 강력반발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전날 밤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 “청년비례대표에 대한 자질문제를 말하려면 저나 장하나 의원의 4년을 평가해서 계속 진행이 어렵다 판단해야지, 이제 접수한 청년후보에게 그런 핑계를 대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최소한 (홍창선) 공관위원장은 청년당원들에게 사과부터 해야 한다”고 몰아세웠다.

    그러면서 “자신들이 직무를 유기하고 제도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한 공관위가 잘못하고선 왜 선량한 청년후보들에게 책임을 지우느냐”고 따져 물었다.

    청년 비례대표 지원자인 이종철씨는 䄜년 후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청년들이 소모품처럼 버려지는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홍창선 위원장의 사퇴와 함께 재심사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당에선 청년비례대표 제도에 대한 재검토를 시작했지만 19대 국회에서 처음 도입 된 이래 4년만에 폐지 될 위기에 놓였다는 분석이다.

    김성수 비대위 대변인은 "일단 청년비례대표 경선 절차를 중단시켰다. 제도에 대한 재검토를 하기로 했다"며 “공관위에선 청년비례에 도전한 사람들이 과연 의정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지, 전반적인 자질 부분에서 의문이 든다는 게 공통적 의견이었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