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4.13 총선을 앞두고 야권후보 단일화 여부로 주목을 끌었던 서울 중·성동을에 출마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지수 후보와 국민의당 정호준 후보의 야권단일화 협상은 사실상 물건너갔다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선 새누리당 지상욱, 더불어민주당 이지수, 국민의당 정호준 후보의 3파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6일 현재 지역 정가에 따르면 야권후보 단일화 방식을 놓고 양측의 의견이 워낙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데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사전투표일 8일 이전까지 후보단일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현실적으로도 사전 투표일 전 단일화 최종 발표를 위해선 늦어도 전날까지 경선방식에 대해 양측이 합의를 하고 경선여론조사 등 절차가 진행돼야 하는데 아직 합의조차 이루지 못한 상황이다.
실제 더민주 이지수 후보 측은 "여론조사만으로는 도덕성 문제 등 후보의 본선경쟁력 검증을 제대로 할 수 없다"며 '여론조사 50% 배심원판단 50%' 방식을 주장한 반면, 국민의당 정호준 후보 측은 "그동안 단일화 과정에서 배심원제가 적용된 적도 없었고 지역유권자도 아닌 외부인사의 의사가 단일화 결정에 50%를 차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여론조사 100%’ 경선방식을 주장하며 맞서는 형국이다.
오는 8일 사전투표 이전에 양측이 경선방식에 합의하고 단일화를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는 배경이다.
이에 따라 이 지역에선 새누리당 지상욱, 더불어민주당 이지수, 국민의당 정호준 후보의 3파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6일 현재 지역 정가에 따르면 야권후보 단일화 방식을 놓고 양측의 의견이 워낙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데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사전투표일 8일 이전까지 후보단일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현실적으로도 사전 투표일 전 단일화 최종 발표를 위해선 늦어도 전날까지 경선방식에 대해 양측이 합의를 하고 경선여론조사 등 절차가 진행돼야 하는데 아직 합의조차 이루지 못한 상황이다.
실제 더민주 이지수 후보 측은 "여론조사만으로는 도덕성 문제 등 후보의 본선경쟁력 검증을 제대로 할 수 없다"며 '여론조사 50% 배심원판단 50%' 방식을 주장한 반면, 국민의당 정호준 후보 측은 "그동안 단일화 과정에서 배심원제가 적용된 적도 없었고 지역유권자도 아닌 외부인사의 의사가 단일화 결정에 50%를 차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여론조사 100%’ 경선방식을 주장하며 맞서는 형국이다.
오는 8일 사전투표 이전에 양측이 경선방식에 합의하고 단일화를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는 배경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