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최근 방한을 통해 대권도전을 시사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항마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양상이다.
29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 대선에서 반기문 총장의 대항마로 거론되는 야당 측 인물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 등이다.
더민주 관계자는 “반 총장이 대권에 도전할 경우 새누리당 후보로 도전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야권은 문 전 대표와 안 대표에 이어 최근 연일 ‘새판자기’ 주장으로 정계복귀 사인을 보내고 있는 손 전 고문이 합세하는 1여3야 구도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새누리당 관계자 역시 “반 총장이 여당 후보로 나설 경우 지역구도 면에서도 충청과 영남을 아우를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며 “야권이 호남을 두고 표가 갈리는 것에 비하면 상당히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반 총장은 출신지인 충청권에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권 유권자들의 지지를 무기로 삼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와 안 대표, 손 전 고문은 호남에서 치열한 선두 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유권자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도권 지역 표심의 향배가 관건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문 전 대표의 경우는 새누리당 후보로 반 총장이 나설 경우 진보 대 보수 프레임으로 맞서는 상황이 불가피해 상대적으로 중도표심을 끌어안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다만 수도권 지역 진보표심에선 다른 야권주자들보다 우위에 있다는 평가다.
안철수 대표는 국민의당이 안고 있는 ‘호남자민련’의 한계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수도권 지역에선 다른 주자들에 비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도표심 지지에 있어선 진보 색체가 상대적으로 뚜렷한 문 전 대표보다 유리하다는 평가다.
손 전 고문은 경기도지사 역임으로 중도표심 잡기에 있어 문 전 대표나 안 대표보다 우위를 점할 거라는 분석이다.
다만 이런 상황이 손 전 고문의 최대 약점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지기반 열세를 뒤집는 '키'가 될 수 있을 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29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 대선에서 반기문 총장의 대항마로 거론되는 야당 측 인물은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손학규 전 더민주 상임고문 등이다.
더민주 관계자는 “반 총장이 대권에 도전할 경우 새누리당 후보로 도전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야권은 문 전 대표와 안 대표에 이어 최근 연일 ‘새판자기’ 주장으로 정계복귀 사인을 보내고 있는 손 전 고문이 합세하는 1여3야 구도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새누리당 관계자 역시 “반 총장이 여당 후보로 나설 경우 지역구도 면에서도 충청과 영남을 아우를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며 “야권이 호남을 두고 표가 갈리는 것에 비하면 상당히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반 총장은 출신지인 충청권에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권 유권자들의 지지를 무기로 삼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문 전 대표와 안 대표, 손 전 고문은 호남에서 치열한 선두 다툼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유권자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도권 지역 표심의 향배가 관건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문 전 대표의 경우는 새누리당 후보로 반 총장이 나설 경우 진보 대 보수 프레임으로 맞서는 상황이 불가피해 상대적으로 중도표심을 끌어안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다만 수도권 지역 진보표심에선 다른 야권주자들보다 우위에 있다는 평가다.
안철수 대표는 국민의당이 안고 있는 ‘호남자민련’의 한계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수도권 지역에선 다른 주자들에 비해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도표심 지지에 있어선 진보 색체가 상대적으로 뚜렷한 문 전 대표보다 유리하다는 평가다.
손 전 고문은 경기도지사 역임으로 중도표심 잡기에 있어 문 전 대표나 안 대표보다 우위를 점할 거라는 분석이다.
다만 이런 상황이 손 전 고문의 최대 약점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지기반 열세를 뒤집는 '키'가 될 수 있을 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