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국민의당 김수민·박선숙 의원의 '리베이트 의혹'이 갈수록 파장을 키우면서 '새정치'를 표방하던 국민의당이 창당 3개월 만에 최대위기에 봉착하는 모습이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12일 “우리가 '새정치'를 표방하고 나섰는데, 총선 과정을 둘러싸고 김수민 의원 등의 불법 의혹 등이 제기돼 곤혹스럽다”며 “창당 4개월 만에 당이 휘청거리게 생겼다”고 우려했다.
앞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9일 4.13총선 과정에서 억대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국민의당 비례대표 김수민 의원을 검찰에 고발했다.
선관위가 고발한 '리베이트 사건'의 핵심 의혹은 ▲지난 총선 당시 국민의당 홍보를 대행한 선거공보제작업체 B사, TV광고대행업체 S사가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 계좌로 보낸 2억3820만 원의 실제 용도 ▲이와 관련, 당시 당 사무총장 박선숙 의원이 직접 개입했는지 여부 ▲김수민 의원이 비례대표 7번을 배정 받은 배경 등이다.
S사는 총선 당시 국민의당에 홍보비 11억 원을 받아 광고를 집행했고, 국민의당은 광고대행 수수료로 S사에 1억7000만 원을 지급했다. 이 가운데 약 70%에 해당하는 1억2820억 원이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과 국민의당 TF팀으로 유입된 의혹을 받고 있다.
국민의당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하게 부인했지만, S사 관계자는 이미 김 의원의 리베이트 요구를 어느 정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S업체 관계자는 "김수민 의원 측이 광고를 연결해 주는 조건으로 대행료의 70%를 요구했다"며, "6820만 원은 현금으로, 나머지 6000만 원은 체크카드로 국민의당 TF팀 관계자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김 의원이 총선 당시 비례대표 후보 공천 신청을 하지 않았는데도 당선권인 비례대표 7번에 공천된 배경에 대해서도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심지어 김 의원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 박선숙 당시 사무총장의 뜻이 작용했다는 설이 무성하다.
특히 당시 김수민 의원을 영입한 인사는 김영환 전 인재영입위원장(현 사무총장)으로, 김 전 위원장은 서울 숙명여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 지도교수 A 씨에게 김 의원을 소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김 의원을 천거한 지도교수 A 씨는 이번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돼 검찰에 출국금지를 당한 상태다.
이 사건이 새정치를 표방하고 나선 국민의당을 뿌리 채 흔들 수 있는 핵폭탄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 배경이다.
당초에는 공식 언급을 자제하던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도 공격의 수위를 높이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지금 언론 보도 내용만 봐도 워낙 저급한 사안임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걸 언제까지 남의 일이니 가만있자고 할 수만 있겠냐"며 "계속 침묵하면 정치인들끼리 제식구 감싼다는 비난여론에 직면할 게 뻔하다"고 지적했다.
전날 지도부 회의에서 국민의당 사건에 대해 비공개 논의를 하고 일단 지켜보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 더민주도 연일 새로운 의혹이 터지는 상황에서 '감싸기'를 지속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리는 모습이다.
당초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받았다'며 느슨한 태도를 보였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내부적으로 진상조사단을 꾸렸고 거기서 사실 확인을 해 결론을 내면 신속하게 모두 다 밝히겠다"며 긴장국면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안 대표는 특히 김 의원이 비례대표 공천 신청도 하지 않았는데도 7번에 배정되는 등 비례대표 선정 과정의 불투명성에 대해서도 "전체를 다 조사하고 거기서(진상조사단) 투명하게 말씀드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안 대표와는 다른 시각을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개원 협상의 주역이었단 칭찬과 함께 최근의 사태에 걱정도 하십니다"라며 지역 여론을 소개하면서 "시련을 극복하는 것도 리더십입니다"라고 밝혔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12일 “우리가 '새정치'를 표방하고 나섰는데, 총선 과정을 둘러싸고 김수민 의원 등의 불법 의혹 등이 제기돼 곤혹스럽다”며 “창당 4개월 만에 당이 휘청거리게 생겼다”고 우려했다.
앞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9일 4.13총선 과정에서 억대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국민의당 비례대표 김수민 의원을 검찰에 고발했다.
선관위가 고발한 '리베이트 사건'의 핵심 의혹은 ▲지난 총선 당시 국민의당 홍보를 대행한 선거공보제작업체 B사, TV광고대행업체 S사가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 계좌로 보낸 2억3820만 원의 실제 용도 ▲이와 관련, 당시 당 사무총장 박선숙 의원이 직접 개입했는지 여부 ▲김수민 의원이 비례대표 7번을 배정 받은 배경 등이다.
S사는 총선 당시 국민의당에 홍보비 11억 원을 받아 광고를 집행했고, 국민의당은 광고대행 수수료로 S사에 1억7000만 원을 지급했다. 이 가운데 약 70%에 해당하는 1억2820억 원이 김수민 의원이 대표로 있던 브랜드호텔과 국민의당 TF팀으로 유입된 의혹을 받고 있다.
국민의당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하게 부인했지만, S사 관계자는 이미 김 의원의 리베이트 요구를 어느 정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S업체 관계자는 "김수민 의원 측이 광고를 연결해 주는 조건으로 대행료의 70%를 요구했다"며, "6820만 원은 현금으로, 나머지 6000만 원은 체크카드로 국민의당 TF팀 관계자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김 의원이 총선 당시 비례대표 후보 공천 신청을 하지 않았는데도 당선권인 비례대표 7번에 공천된 배경에 대해서도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심지어 김 의원 비례대표 후보 공천 과정에 박선숙 당시 사무총장의 뜻이 작용했다는 설이 무성하다.
특히 당시 김수민 의원을 영입한 인사는 김영환 전 인재영입위원장(현 사무총장)으로, 김 전 위원장은 서울 숙명여대 시각영상디자인학과 지도교수 A 씨에게 김 의원을 소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김 의원을 천거한 지도교수 A 씨는 이번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돼 검찰에 출국금지를 당한 상태다.
이 사건이 새정치를 표방하고 나선 국민의당을 뿌리 채 흔들 수 있는 핵폭탄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 배경이다.
당초에는 공식 언급을 자제하던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도 공격의 수위를 높이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지금 언론 보도 내용만 봐도 워낙 저급한 사안임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걸 언제까지 남의 일이니 가만있자고 할 수만 있겠냐"며 "계속 침묵하면 정치인들끼리 제식구 감싼다는 비난여론에 직면할 게 뻔하다"고 지적했다.
전날 지도부 회의에서 국민의당 사건에 대해 비공개 논의를 하고 일단 지켜보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 더민주도 연일 새로운 의혹이 터지는 상황에서 '감싸기'를 지속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리는 모습이다.
당초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받았다'며 느슨한 태도를 보였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내부적으로 진상조사단을 꾸렸고 거기서 사실 확인을 해 결론을 내면 신속하게 모두 다 밝히겠다"며 긴장국면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안 대표는 특히 김 의원이 비례대표 공천 신청도 하지 않았는데도 7번에 배정되는 등 비례대표 선정 과정의 불투명성에 대해서도 "전체를 다 조사하고 거기서(진상조사단) 투명하게 말씀드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안 대표와는 다른 시각을 드러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개원 협상의 주역이었단 칭찬과 함께 최근의 사태에 걱정도 하십니다"라며 지역 여론을 소개하면서 "시련을 극복하는 것도 리더십입니다"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