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새누리당 혁신비대위가 유승민 의원을 포함한 무소속 의원들의 일괄 복당을 승인한 것을 두고 친박계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한선교 의원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내 친박계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17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혁신비대위가 최고위를 대신하는 최고의결기관이기 때문에 복당 문제 같은 건 늘 최고위에서 결정을 해왔다. 이번 비대위에서 결정이 된 것은 당헌당규상 큰 하자는 없고 그것으로써 결정됐다고 보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7명의 무소속 인사들, 그 중 유승민, 윤상현 이 두사람을 선별적으로 나중에 하고 나머지를 먼저 하자, 또 어떤 언론이나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빨리 해야 한다, 아니면 전당대회가 끝나고 전당대회의 지도부가 그들의 복당을 결정해야 한다고 하는데, 공통점은 복당은 돼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결정은 저도 다소 놀란 바가 없지 않았지만 기왕 이런 결정이 내려진 걸 계파 간의 득실, 여러 가지 이익을 떠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내 친박계의 반발에 대해서는 “이미 결정이 난 것인데 그걸 다시 번복할 수 있는 당의 당헌당규는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왜 일이 터지고 난 다음에 이 난리가 나느냐, 그 전에 비대위를 구성할 때 사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첫 번째 비대위를 김용태 추대로 했는데, 거기서 첫 번째 거론된 것이 복당문제였다”며 “이번 비대위는 여러 가지 당내 주류들의 의견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위원들로 구성됐다고 믿고 있었고, 이걸 갖고 쿠데타다 뭐다 얘기하는 건 이미 차 떠난 뒤에 손 흔드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요즘 얘기하는 친박 핵심들께서는 저를 별로 친박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저는 늘 친박라고 생각한다”며 “친박이라는 건 나의 정치 승리를 위한 친박이 되지 말고, 정말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운영에만 전념할 수 있는 친박이 돼야 하는데 이렇게 일 터진 다음에 난리를 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당내 친박계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17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혁신비대위가 최고위를 대신하는 최고의결기관이기 때문에 복당 문제 같은 건 늘 최고위에서 결정을 해왔다. 이번 비대위에서 결정이 된 것은 당헌당규상 큰 하자는 없고 그것으로써 결정됐다고 보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7명의 무소속 인사들, 그 중 유승민, 윤상현 이 두사람을 선별적으로 나중에 하고 나머지를 먼저 하자, 또 어떤 언론이나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빨리 해야 한다, 아니면 전당대회가 끝나고 전당대회의 지도부가 그들의 복당을 결정해야 한다고 하는데, 공통점은 복당은 돼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결정은 저도 다소 놀란 바가 없지 않았지만 기왕 이런 결정이 내려진 걸 계파 간의 득실, 여러 가지 이익을 떠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당내 친박계의 반발에 대해서는 “이미 결정이 난 것인데 그걸 다시 번복할 수 있는 당의 당헌당규는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왜 일이 터지고 난 다음에 이 난리가 나느냐, 그 전에 비대위를 구성할 때 사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첫 번째 비대위를 김용태 추대로 했는데, 거기서 첫 번째 거론된 것이 복당문제였다”며 “이번 비대위는 여러 가지 당내 주류들의 의견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위원들로 구성됐다고 믿고 있었고, 이걸 갖고 쿠데타다 뭐다 얘기하는 건 이미 차 떠난 뒤에 손 흔드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요즘 얘기하는 친박 핵심들께서는 저를 별로 친박으로 생각하지 않지만 저는 늘 친박라고 생각한다”며 “친박이라는 건 나의 정치 승리를 위한 친박이 되지 말고, 정말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정운영에만 전념할 수 있는 친박이 돼야 하는데 이렇게 일 터진 다음에 난리를 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