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이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관련, “어느 정권의 문제라고 보는 시각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특위 위원장인 우 의원은 8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문제가 있으면 누구든지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2001년(노무현 정부 당시)한국에서만 판매 허가가 난 이유도 밝혀야 한다’는 새누리당의 주장에 대해서는 “2001년을 얘기하는 것은 그때부터 (이 사건이)시간된 것 같이 얘기하는데 그건 사실과 다르다”라며 “시작은 1994년 SK케미칼, 당시 유공이 가습기살균제를 처음 내놓으면서부터 시작된 것인데, 1994년 이후로 그것이 어떤 정권이 됐는지 관계없이 문제가 있는 것은 다 찾아서 조사를 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유가족의 ‘잠재적 피해자를 찾아낼 특별기구’ 구성 제안에 대해서는 “정신적인 피해도 큰 문제인데, 어떤 피해자는 자기 자신이 피해자임과 동시에 자신이 가습기 살균제를 구매해서 사용함으로 해서 내 가족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며 “이런 것 때문에 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이런 피해를 장기간 모니터링하고 연구하고 상담, 치료하는 전담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이같은 의견에 힘을 실었다.
그는 “이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자가 광범위하고 피해신고 증가 규모를 감안하면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이고, 생존 피해자들이 가지고 있는 걱정 중 하나가 후유증이나 추가발병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것은 국정조사를 통해 피해 규모나 피해자들의 증언을 듣다보면 국민적 공감대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그런 과정을 거쳐 전담기구의 설치나 이런 것들의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특위 위원장인 우 의원은 8일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문제가 있으면 누구든지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2001년(노무현 정부 당시)한국에서만 판매 허가가 난 이유도 밝혀야 한다’는 새누리당의 주장에 대해서는 “2001년을 얘기하는 것은 그때부터 (이 사건이)시간된 것 같이 얘기하는데 그건 사실과 다르다”라며 “시작은 1994년 SK케미칼, 당시 유공이 가습기살균제를 처음 내놓으면서부터 시작된 것인데, 1994년 이후로 그것이 어떤 정권이 됐는지 관계없이 문제가 있는 것은 다 찾아서 조사를 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유가족의 ‘잠재적 피해자를 찾아낼 특별기구’ 구성 제안에 대해서는 “정신적인 피해도 큰 문제인데, 어떤 피해자는 자기 자신이 피해자임과 동시에 자신이 가습기 살균제를 구매해서 사용함으로 해서 내 가족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며 “이런 것 때문에 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이런 피해를 장기간 모니터링하고 연구하고 상담, 치료하는 전담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이같은 의견에 힘을 실었다.
그는 “이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자가 광범위하고 피해신고 증가 규모를 감안하면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이고, 생존 피해자들이 가지고 있는 걱정 중 하나가 후유증이나 추가발병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것은 국정조사를 통해 피해 규모나 피해자들의 증언을 듣다보면 국민적 공감대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그런 과정을 거쳐 전담기구의 설치나 이런 것들의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