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란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권영세 전 주중대사가 10일 “사드는 한중 간 새로운 관계설정 과정에서 불가피한 일종의 성장통”이라고 말했다.
권 전 대사는 이날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지역 강국을 넘어 강대국으로 부상하려는 중국과 새롭게 관계설정을 해야 하는 것은 우리로서는 불가피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사드 배치 논란이 우리나라와 중국이 각자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 간의 관계설정을 새롭게 하는 중요한 계기라는 점에서는 좋은 계기라는 생각”이라며 “새로운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양국이 서로 좋았을 때는 문제가 없는데, 그 관계의 한계 설정을 슬기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그러면서 “사드 배치와 같이 중국이 반대하지만 우리로서는 또 우리 국익에 반드시 필요해서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중국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한계내로 인정할 수 있어야 건강한 한중관계가 가능하다”며 “또 반면 중국이 북한의 붕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지원하는 것을 넘어서 핵 개발이나 미사일 개발에 북한의 편을 든다면 그것은 건강한 한중관계의 한계를 분명히 넘어가는 것으로 양국이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의 방중에 대해서는 “이번 방문에 대해서는 국민의당이나 심지어 민주당내에서도 부정적인 견해가 상당히 많았다”며 “국내 여론도 언론을 보니 비판적인 면이 우세하지 않았나 생각하는데, 중국도 이번 방문 일정이라든가 결과를 보니 중국도 이번 방문에 대해 국내의 부정적 분위기를 알고 행동하는 것이 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내부적으로는 강하게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어떤 면에서는 일종의 겁주기를 한다고 할 정도로 강하게 하지만, 외부적인 발표에서는 이번에 방문한 6명의 입지를 지나치게 약화시키지 않고 국내 반대 분위기를 지나치게 약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발표하는 전략적인 판단하는 것으로 추측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이 경제적 보복을 예고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필요하다면 감수해야 한다. 이런 보복 조치에 대해 처음에는 우리 사회의 의견이 비교적 빠른 시간내 정리가 됐다면 이런 일을 피할 수 있다는 판단”이라며 “지금 현재 치열하게 반대를 하는 반대론자들의 입지를 좀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일정한 제한조치는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이번 정부 들어서 한중 관계가 굉장히 좋았기 때문에 한중 간 신뢰관계, 중국도 과거의 중국이 아니라 세계적 영향력을 지향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지금 보복 문제가 아주 악화돼서 상화보복전으로 빠져들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밝혔다.
권 전 대사는 이날 오전 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지역 강국을 넘어 강대국으로 부상하려는 중국과 새롭게 관계설정을 해야 하는 것은 우리로서는 불가피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사드 배치 논란이 우리나라와 중국이 각자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 간의 관계설정을 새롭게 하는 중요한 계기라는 점에서는 좋은 계기라는 생각”이라며 “새로운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양국이 서로 좋았을 때는 문제가 없는데, 그 관계의 한계 설정을 슬기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
그러면서 “사드 배치와 같이 중국이 반대하지만 우리로서는 또 우리 국익에 반드시 필요해서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중국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한계내로 인정할 수 있어야 건강한 한중관계가 가능하다”며 “또 반면 중국이 북한의 붕괴를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지원하는 것을 넘어서 핵 개발이나 미사일 개발에 북한의 편을 든다면 그것은 건강한 한중관계의 한계를 분명히 넘어가는 것으로 양국이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의 방중에 대해서는 “이번 방문에 대해서는 국민의당이나 심지어 민주당내에서도 부정적인 견해가 상당히 많았다”며 “국내 여론도 언론을 보니 비판적인 면이 우세하지 않았나 생각하는데, 중국도 이번 방문 일정이라든가 결과를 보니 중국도 이번 방문에 대해 국내의 부정적 분위기를 알고 행동하는 것이 보였다”고 밝혔다.
이어 “내부적으로는 강하게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 어떤 면에서는 일종의 겁주기를 한다고 할 정도로 강하게 하지만, 외부적인 발표에서는 이번에 방문한 6명의 입지를 지나치게 약화시키지 않고 국내 반대 분위기를 지나치게 약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발표하는 전략적인 판단하는 것으로 추측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이 경제적 보복을 예고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필요하다면 감수해야 한다. 이런 보복 조치에 대해 처음에는 우리 사회의 의견이 비교적 빠른 시간내 정리가 됐다면 이런 일을 피할 수 있다는 판단”이라며 “지금 현재 치열하게 반대를 하는 반대론자들의 입지를 좀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일정한 제한조치는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이번 정부 들어서 한중 관계가 굉장히 좋았기 때문에 한중 간 신뢰관계, 중국도 과거의 중국이 아니라 세계적 영향력을 지향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지금 보복 문제가 아주 악화돼서 상화보복전으로 빠져들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