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임기 종료를 하루 앞둔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한 계파가 너무 패권을 휘두르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야 당이 안정되고 내년 대선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26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에 내가 처음 들어올 적에 너무나 당이 와해될 정도로 혼란스러운 양상에 놓였는데 그 당시도 얘기가 됐던 것인 한 계파가 너무 패권을 휘두른다는 것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2017년 실시되는 대선까지 자신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그동안 내가 오랜 기간 동안 해오던 일인데 우리 사회가 조화로운 사회가 되기 위해 경제 문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격차해소 등등의 문제가 있었다”며 “이런 걸 해소를 할 것 같으면 룰이 공정해져야 하는데 그 룰을 공정하게 하려고 할 것 같으면 한쪽 세력이 너무나 지나친 영향력을 행사해서 현상을 좌지우지 하는 걸 방지하는 노력에 대해 끊임없이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내에서 균형을 잡기가 어려울 거라고 보는데 당이라는 게 한 세력이 지나치게 주도를 해 버리면 거기에서 균형을 잡는다는 건 쉽지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균형을 잡는다는 건 직접 대선 출마 의향이 있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런 걸 목적으로 해서 경제민주화를 얘기하는 것은 아니고, 그런 목적으로 해서 내가 더불어민주당의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로 와서 당을 수습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런 얘기는 논외로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즉답을 피했다.
이어 “현재 여러 가지 여건을 놓고 봤을 때 그럴(대선 출마할) 가능성이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나는 내 판단 스스로가 모든 것이 가능하지 않는 걸 추구하는 사람은 아니다”라고 거듭 밝혔다.
그는 자신을 둘러싼 평가 중 ‘당의 정체성이 흔들렸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더민주의 정체성이라는 것에 대해 잘 납득이 가지 않는다. 한 정당이 지향하는 바가 자유민주주의라면 인정을 하겠는데 그 외에 특별한 정책적인 사항을 가지고 정체성이라고 할 것 같으면 그 정체성이 뭔지를 잘 파악하지 못하겠다”고 반박했다.
그는 “예를 들어 내가 햇볕정책에 대해 그걸 강조 안한다고 해서 정체성 위반이라는 얘기를 하는 사람도 있던데 햇볕정책이라는 것은 우리가 평화통일을 위한 과정 속에서 하나의 전술적인 목표로 사용했던 것이지, 그게 언제나 적용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그걸 정체성이라고 한다면 잘 납득이 안 간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26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에 내가 처음 들어올 적에 너무나 당이 와해될 정도로 혼란스러운 양상에 놓였는데 그 당시도 얘기가 됐던 것인 한 계파가 너무 패권을 휘두른다는 것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2017년 실시되는 대선까지 자신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그동안 내가 오랜 기간 동안 해오던 일인데 우리 사회가 조화로운 사회가 되기 위해 경제 문제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 격차해소 등등의 문제가 있었다”며 “이런 걸 해소를 할 것 같으면 룰이 공정해져야 하는데 그 룰을 공정하게 하려고 할 것 같으면 한쪽 세력이 너무나 지나친 영향력을 행사해서 현상을 좌지우지 하는 걸 방지하는 노력에 대해 끊임없이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내에서 균형을 잡기가 어려울 거라고 보는데 당이라는 게 한 세력이 지나치게 주도를 해 버리면 거기에서 균형을 잡는다는 건 쉽지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균형을 잡는다는 건 직접 대선 출마 의향이 있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런 걸 목적으로 해서 경제민주화를 얘기하는 것은 아니고, 그런 목적으로 해서 내가 더불어민주당의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로 와서 당을 수습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런 얘기는 논외로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즉답을 피했다.
이어 “현재 여러 가지 여건을 놓고 봤을 때 그럴(대선 출마할) 가능성이 있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나는 내 판단 스스로가 모든 것이 가능하지 않는 걸 추구하는 사람은 아니다”라고 거듭 밝혔다.
그는 자신을 둘러싼 평가 중 ‘당의 정체성이 흔들렸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더민주의 정체성이라는 것에 대해 잘 납득이 가지 않는다. 한 정당이 지향하는 바가 자유민주주의라면 인정을 하겠는데 그 외에 특별한 정책적인 사항을 가지고 정체성이라고 할 것 같으면 그 정체성이 뭔지를 잘 파악하지 못하겠다”고 반박했다.
그는 “예를 들어 내가 햇볕정책에 대해 그걸 강조 안한다고 해서 정체성 위반이라는 얘기를 하는 사람도 있던데 햇볕정책이라는 것은 우리가 평화통일을 위한 과정 속에서 하나의 전술적인 목표로 사용했던 것이지, 그게 언제나 적용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그걸 정체성이라고 한다면 잘 납득이 안 간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