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 '사람중심 교통정책' 눈길

    기획/시리즈 / 여영준 기자 / 2016-12-08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도로교통공단 ‘교통안전지수’ 평가 전국 지자체 3위, 자치구 중 1위
    서울시-자치구 공동협력사업 평가 ‘최우수’… 보행자가 안전한 도시 만들기
    ▲ 지난 5월19일 구청 직원들과 녹색어머니회 등 주민들이 사당동 삼일초등학교 앞에서 옐로카펫을 설치하고 있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동작구의 ‘사람중심 교통정책’이 서울시와 대외기관으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서울 동작구(구청장 이창우)는 '2015년 교통안전지수'에서 전국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했으며, '2016년 교통분야 시-자치구 공동협력사업' 평가에서 최우수 성적으로 수상구에 선정됐다.

    아울러 구는 지난 3월에는 유관기관과 어린이보호구역 59곳을 돌며 교통안전시설 점검을 시행, 폐쇄회로(CC)TV, 옐로카펫 등을 설치했다.

    이에 <시민일보>는 올 한해동안 구가 추진한 '사람중심 교통정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 도로교통공단 '교통안전지수' 평가도 전국 자치구 중 1위
    ▲ 지난 11월4일 이창우 구청장(오른쪽)이 구청에서 김경태 동작지역자활센터장에게 재생자전거를 전달하고 있다.
    구는 지난 11월17일 도로교통공단에서 발표한 '2015년 교통안전지수'에서 전국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했다.

    도로교통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구의 교통안전지수는 89.2점으로, 전국 227개 기초자치단체 중 강원 화천군, 세종시에 이어 3위며, 자치구에서는 가장 높은 점수다.

    교통안전지수란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교통여건(인구ㆍ자동차ㆍ도로 등) 대비 교통사고율을 기초로 자치단체별 교통안전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지수다.

    공단은 동작구가 높은 평가를 받은 요인으로 ‘보행자 우선의 교통환경 조성사업 추진’과 ‘전년 대비 중사고 건수 감소’를 들었다.

    실제로 구의 2015년 중사고(중상 이상의 사고ㆍ교통사고로 3주 이상 치료를 요하는 사고) 건수는 54건(12%) 감소하고 사망자수는 6명(46.2%), 보행사망자수는 7명(8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6년 서울시 교통분야 평가, '최우수 성적'으로 수상
    ▲ '노량진 거리가게 특화거리'의 모습.
    또한 구는 시에서 지난 11월17일 발표한 '걷는 도시, 서울'을 위한 '2016년 교통분야 시-자치구 공동협력사업' 평가에서 수상구로 선정됐다.

    구는 2012~2015년 '4년 연속 최우수구 수상'의 저력으로 올해도 최우수 성적(92.2점)으로 수상하게 됐다.

    이번 평가는 시의 보행친화적 교통정책인 '걷는 도시, 서울'을 위한 5가지 지표가 기준이 됐다.

    평가 지표는 ▲걸을 수 있는 도시 ▲걷고 싶은 도시 ▲걷기 쉬운 도시 ▲함께 걷는 도시 ▲안전하고 쾌적한 보도관리다.

    구는 전분야에서 고르게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걸을 수 있는 도시'와 '안전하고 쾌적한 보도관리' 분야에서는 만점을 받았다.

    ■ 열악한 보행환경, '사람 중심 교통정책'으로 '극복'
    ▲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센터' 관계자들이 자전거를 고치고 있다.
    구는 저층 다가구·다세대 주택 비율이 높아, 도로와 보도가 협소하거나 보행로가 단절되는 등 일부 보행여건이 좋지 않은 곳이 있다. 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장중심의 시설개설과 민관협력을 통한 교통안전 시스템 구축을 강화하고 있다.

    구는 지난 3월에는 새학기를 맞아 동작경찰서, 녹색어머니회 등 유관기관과 어린이보호구역 59곳을 돌며 교통안전시설 점검을 시행했다.

    점검결과 폐쇄회로(CC)TV 설치 등 145건을 정비 완료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10곳에 보행약자가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는 ‘옐로카펫’을 설치했다.

    또한 '두 사 랑' 자전거 수리센터를 운영하고, 재생 자전거 70대를 소외계층에 전달하는 등 자전거이용 편의증진에도 힘쓰고 있다.

    이번 평가에서 구만의 특화사업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손님과 행인이 서로 뒤엉켜 유모차 한 대도 지나갈 수 없던 '노량진 컵밥거리'는 상인과 보행자의 갈등이 끊이지 않던 곳이었다. 구는 1년여간의 설득과 소통으로 지난해 10월 노점 32곳을 지금의 '노량진 거리가게 특화거리'로 이전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시 공모사업에 선정된 여의대방로 일대의 '생활권 도로다이어트 사업'도 준공을 앞두고 있다.

    주민 김유미씨(38·대방동)는 "인근에 학교가 5개나 있는데 보도가 너무 좁아 등·하교 시간에 특히 걷기 불편했다"며 "보도가 넓어지면 안전하고 산책하기 좋은 길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창우 구청장은 "농촌지역에 비해 교통분야에서 취약할 수 있는 서울 자치구에서 이렇게 좋은 평가를 받게 돼 더 뜻깊다"며 "사람 중심의 교통정책 실현으로 안전하고 걷고 싶은 동작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구 교통행정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