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동 前 수석, 김종 前 차관 등 구속기소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해 온 검찰은 조원동(60)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이 대통령과 공모해 CJ그룹 이미경 부회장의 사퇴를 압박했다고 결론짓고 사실상 수사를 마무리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11일 조원동(60)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강요미수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고 김종(55)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강요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조 전 수석은 박 대통령과 공모해 2013년 7월께 손경식 CJ그룹 회장에게 대통령의 뜻이라며 ‘(이 부회장이) 사퇴하지 않으면 큰일이 벌어진다’는 취지로 얘기하며 이 부회장의 퇴진을 요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조 전 수석의 요구에 CJ 측이 응하지 않아 이번 강요 행위가 미수에 그쳤다고 판단했다.
김 전 차관은 최순실 씨 조카인 장시호 씨가 설립한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이하 영재센터)에 후원금을 내도록 최 씨 및 장 씨와 공모해 기업을 압박하는 등 사실상 최 씨의 하수인 노릇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는 삼성그룹과 그랜드코리아레저(GKL)로 하여금 영재센터에 합계 18억2000만원의 지원금을 내도록 압박하는 데 가담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강요)를 받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조 전 수석이 한국관광공사 자회사인 그랜드코리아레저(GKL)에 압력을 가해 장애인 펜싱단을 창단하도록 하고 최 씨가 운영하는 더블루K를 에이전트로 하는 전속 계약을 선수들과 체결하도록 한 혐의도 공소 사실로 기재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과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이 공동으로 범행했다고 판단했다.
김 전 차관은 지난 3월 K스포츠재단과 더블루K가 대한체육회를 대신해 광역스포츠클럽 운영권 등을 독점하는 이익을 취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 비공개 문건인 ‘종합형스포츠클럽 전면 개편방안’, ‘광역거점 K-스포츠클럽 선정 및 운영방안’ 등 직무상 비밀 2건을 최 씨에게 준 혐의(공무상비밀누설)로도 기소됐다.
검찰은 앞서 구속 기소된 최 씨 역시 김 전 차관과 공모해 기업을 압박한 혐의로 이날 추가 기소했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해 온 검찰은 조원동(60)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이 대통령과 공모해 CJ그룹 이미경 부회장의 사퇴를 압박했다고 결론짓고 사실상 수사를 마무리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11일 조원동(60)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강요미수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고 김종(55)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강요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조 전 수석은 박 대통령과 공모해 2013년 7월께 손경식 CJ그룹 회장에게 대통령의 뜻이라며 ‘(이 부회장이) 사퇴하지 않으면 큰일이 벌어진다’는 취지로 얘기하며 이 부회장의 퇴진을 요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조 전 수석의 요구에 CJ 측이 응하지 않아 이번 강요 행위가 미수에 그쳤다고 판단했다.
김 전 차관은 최순실 씨 조카인 장시호 씨가 설립한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이하 영재센터)에 후원금을 내도록 최 씨 및 장 씨와 공모해 기업을 압박하는 등 사실상 최 씨의 하수인 노릇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그는 삼성그룹과 그랜드코리아레저(GKL)로 하여금 영재센터에 합계 18억2000만원의 지원금을 내도록 압박하는 데 가담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강요)를 받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조 전 수석이 한국관광공사 자회사인 그랜드코리아레저(GKL)에 압력을 가해 장애인 펜싱단을 창단하도록 하고 최 씨가 운영하는 더블루K를 에이전트로 하는 전속 계약을 선수들과 체결하도록 한 혐의도 공소 사실로 기재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과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이 공동으로 범행했다고 판단했다.
김 전 차관은 지난 3월 K스포츠재단과 더블루K가 대한체육회를 대신해 광역스포츠클럽 운영권 등을 독점하는 이익을 취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 비공개 문건인 ‘종합형스포츠클럽 전면 개편방안’, ‘광역거점 K-스포츠클럽 선정 및 운영방안’ 등 직무상 비밀 2건을 최 씨에게 준 혐의(공무상비밀누설)로도 기소됐다.
검찰은 앞서 구속 기소된 최 씨 역시 김 전 차관과 공모해 기업을 압박한 혐의로 이날 추가 기소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