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제외 전국 AI 맹위
살처분 1800만마리 육박
역대 최악 피해 규모 예상
[시민일보=여영준 기자]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제주도를 뺀 전국 7개 시·도, 27개 시·군으로 확산되며 맹위를 떨치고 있다.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지난 10~14일 AI 의심 신고가 접수되거나 예찰 중 의심축이 발견된 농가 11곳이 ‘H5N6’형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들 11곳은 경기 평택(종오리)·안성(육용오리), 충남 천안(산란계 3건)·아산(산란계), 세종시(산란계), 전북 정읍·김제(육용오리), 충북 음성(육용오리), 부산(토종닭) 등이다.
이와 더불어 AI 의심 신고도 5건이 추가로 접수돼 총 신고 건수는 84건이 됐다. 이중 65건이 확진됐고, 19건은 조사가 진행중이다.
신고 건수 외에 예방적 도살처분 후 검사 과정에서 확진된 농가까지 포함하면 AI 발생농가가 182곳에 달한다. 이와 별개로 야생조류의 고병원성 AI 확진 건수도 23건이다.
도살처분 마릿수는 301농가, 1369만8000마리에 달한다. 여기에 413만5000마리가 추가로 도살 처분될 예정이어서 총 1800만 마리에 육박하게 된다.
이는 고병원성 AI(H5N8형) 확산으로 195일 동안 1396만 마리가 도살 처분돼 ‘역대 최악’으로 기록됐던 2014년의 규모를 한 달 만에 갈아치운 것.
방역 당국은 철새가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고 지금의 확산 추세로 볼 때 사실상 ‘AI 안전지대’가 없다고 판단, AI 위기경보를 가장 높은 ‘심각’ 단계로 격상한다는 대국민 담화문 담화문을 발표했다.
방역 당국은 전국의 주요 도로에 통제초소를 설치하고, 주요 시·군(시·도)간 주요 거점에 축산차량 전담 소독장소를 설치하고 AI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국방부는 각 지자체에 AI 차단방역에 필요한 인력 및 장비를 적극 지원하는 등 부처 간 협조를 통해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방역대 내 식용란의 제한적 반출 허용을 비롯해 가금·사료·식용란 운반 차량 및 닭인공수정사에 대한 1일 1농장 방문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할 방침이다.
살처분 1800만마리 육박
역대 최악 피해 규모 예상
[시민일보=여영준 기자]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제주도를 뺀 전국 7개 시·도, 27개 시·군으로 확산되며 맹위를 떨치고 있다.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지난 10~14일 AI 의심 신고가 접수되거나 예찰 중 의심축이 발견된 농가 11곳이 ‘H5N6’형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들 11곳은 경기 평택(종오리)·안성(육용오리), 충남 천안(산란계 3건)·아산(산란계), 세종시(산란계), 전북 정읍·김제(육용오리), 충북 음성(육용오리), 부산(토종닭) 등이다.
이와 더불어 AI 의심 신고도 5건이 추가로 접수돼 총 신고 건수는 84건이 됐다. 이중 65건이 확진됐고, 19건은 조사가 진행중이다.
신고 건수 외에 예방적 도살처분 후 검사 과정에서 확진된 농가까지 포함하면 AI 발생농가가 182곳에 달한다. 이와 별개로 야생조류의 고병원성 AI 확진 건수도 23건이다.
도살처분 마릿수는 301농가, 1369만8000마리에 달한다. 여기에 413만5000마리가 추가로 도살 처분될 예정이어서 총 1800만 마리에 육박하게 된다.
이는 고병원성 AI(H5N8형) 확산으로 195일 동안 1396만 마리가 도살 처분돼 ‘역대 최악’으로 기록됐던 2014년의 규모를 한 달 만에 갈아치운 것.
방역 당국은 철새가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고 지금의 확산 추세로 볼 때 사실상 ‘AI 안전지대’가 없다고 판단, AI 위기경보를 가장 높은 ‘심각’ 단계로 격상한다는 대국민 담화문 담화문을 발표했다.
방역 당국은 전국의 주요 도로에 통제초소를 설치하고, 주요 시·군(시·도)간 주요 거점에 축산차량 전담 소독장소를 설치하고 AI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국방부는 각 지자체에 AI 차단방역에 필요한 인력 및 장비를 적극 지원하는 등 부처 간 협조를 통해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방역대 내 식용란의 제한적 반출 허용을 비롯해 가금·사료·식용란 운반 차량 및 닭인공수정사에 대한 1일 1농장 방문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