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헌재 등 4개 방면서 거리행진
탄핵 반대 보수단체 맞불집회도 열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박근혜 대통령의 즉각 퇴진’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사퇴’를 촉구하는 8차 주말 촛불집회가 지난 17일 전국 곳곳에서 열렸다.
또 종북세력과 언론의 선동으로 박 대통령이 부당하게 탄핵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탄핵에 반대하는 보수단체들도 ‘맞불집회’를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열고 탄핵심판 기각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등 진보진영 1500여개 단체로 구성된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이하 퇴진행동)은 이날 오후 5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박근혜 즉각 퇴진 공범처벌·적폐청산의 날’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은 이날 오후 8시40분까지 광화문 일대에 누적인원 65만명(경찰 오후 7시 기준 최다 운집인원 6만여명 추산)이 모였다고 발표했다.
퇴진행동은 “국민의 명령은 ‘박근혜 즉각 퇴진’뿐”라며 “지금 대통령 행세를 하며 ‘박근혜 없는 박근혜 체제’를 강행하는 황교안 총리는 즉각 사퇴하고, 헌재는 한치 머뭇거림 없이 박 대통령을 신속히 파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행사 이후 오후 6시30분께부턴 청와대와 총리공관, 헌재 방면으로 4개 경로를 이용한 행진과 집회가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황교안이 박근혜다’, ‘헌재는 즉각 탄핵하라’ 등 구호를 외치며 거리를 행진했다.
법원은 퇴진행동이 경찰의 금지·조건통보에 대해 신청한 집행정지를 일부 받아들여 총리공관 100m 앞(우리은행 삼청동영업점 앞)과 헌재 100m 앞(안국역 4번 출구)에서 오후 10시30분까지 집회와 행진을 허용했다.
청와대에서 100m 떨어진 효자치안센터 앞은 오후 5시30분까지, 팔판동 126맨션 앞은 오후 10시30분까지 집회와 행진이 허용됐다.
세월호 유족을 필두로 한 대오는 세월호 희생자를 상징하는 구명조끼 304벌을 입고 총리공관 방면으로 행진했다. 이들은 “황교안은 세월호 진상규명을 가로막고 이 정권에서 국정농단이 벌어지도록 놔둔 사람”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헌재 남쪽 안국역 4번 출구 앞에서는 헌재에 박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날 시위대는 제한시간인 오후 10시30분보다 2시간가량 이른 오후 8시30분께 광화문 광장으로 돌아와 정리집회 후 해산했다.
이날 집회도 경찰과 시위대 간 별다른 충돌 없이 평화롭게 마무리됐다.
반면 탄핵에 반대하는 보수단체들도 지난 주말에는 상당한 인원이 참가한 맞불집회를 열었다.
박정희대통령육영수여사숭모회 등 50여개 단체로 구성된 ‘대통령 탄핵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 운동본부’(이하 탄기국)는 이날 오전 헌법재판소 인근인 종로구 안국역 앞 삼일대로 일대에서 탄핵 반대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은 이날 집회에 100만명이 참가했다고 주장했으나 경찰은 오후 3시 기준 일시점 최다인원으로 약 3만3000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맞불집회 참가자들은 “박 대통령은 종북세력과 언론의 선동으로 억지 탄핵을 당했다”며 “좌파세력은 헌재 협박을 당장 멈추고, 헌재는 탄핵심판 기각으로 역사에 길이 남을 정의로운 심판을 내리라”고 요구했다.
엄마부대봉사단 등 다른 보수단체들도 세종문화회관 앞 세종로소공원에서 같은 성격의 집회를 열어 탄핵안을 의결한 국회를 규탄하고, 헌재에 탄핵심판을 기각하라고 촉구한 뒤 서울역으로 행진했다.
보수단체 집회에는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는 발언을 한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과 같은당 이우현 의원도 참가해 지지발언을 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서울 도심에 경비병력 228개 중대(1만8200여명)를 배치해 촛불집회와 보수단체 집회 참가자 간 충돌 방지와 안전관리에 나섰다. 행진 과정에서 양측 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으나 별다른 충돌은 없었다.
탄핵 반대 보수단체 맞불집회도 열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박근혜 대통령의 즉각 퇴진’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사퇴’를 촉구하는 8차 주말 촛불집회가 지난 17일 전국 곳곳에서 열렸다.
또 종북세력과 언론의 선동으로 박 대통령이 부당하게 탄핵을 당했다고 주장하며 탄핵에 반대하는 보수단체들도 ‘맞불집회’를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열고 탄핵심판 기각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등 진보진영 1500여개 단체로 구성된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이하 퇴진행동)은 이날 오후 5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박근혜 즉각 퇴진 공범처벌·적폐청산의 날’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은 이날 오후 8시40분까지 광화문 일대에 누적인원 65만명(경찰 오후 7시 기준 최다 운집인원 6만여명 추산)이 모였다고 발표했다.
퇴진행동은 “국민의 명령은 ‘박근혜 즉각 퇴진’뿐”라며 “지금 대통령 행세를 하며 ‘박근혜 없는 박근혜 체제’를 강행하는 황교안 총리는 즉각 사퇴하고, 헌재는 한치 머뭇거림 없이 박 대통령을 신속히 파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행사 이후 오후 6시30분께부턴 청와대와 총리공관, 헌재 방면으로 4개 경로를 이용한 행진과 집회가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황교안이 박근혜다’, ‘헌재는 즉각 탄핵하라’ 등 구호를 외치며 거리를 행진했다.
법원은 퇴진행동이 경찰의 금지·조건통보에 대해 신청한 집행정지를 일부 받아들여 총리공관 100m 앞(우리은행 삼청동영업점 앞)과 헌재 100m 앞(안국역 4번 출구)에서 오후 10시30분까지 집회와 행진을 허용했다.
청와대에서 100m 떨어진 효자치안센터 앞은 오후 5시30분까지, 팔판동 126맨션 앞은 오후 10시30분까지 집회와 행진이 허용됐다.
세월호 유족을 필두로 한 대오는 세월호 희생자를 상징하는 구명조끼 304벌을 입고 총리공관 방면으로 행진했다. 이들은 “황교안은 세월호 진상규명을 가로막고 이 정권에서 국정농단이 벌어지도록 놔둔 사람”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헌재 남쪽 안국역 4번 출구 앞에서는 헌재에 박 대통령 탄핵심판 인용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날 시위대는 제한시간인 오후 10시30분보다 2시간가량 이른 오후 8시30분께 광화문 광장으로 돌아와 정리집회 후 해산했다.
이날 집회도 경찰과 시위대 간 별다른 충돌 없이 평화롭게 마무리됐다.
반면 탄핵에 반대하는 보수단체들도 지난 주말에는 상당한 인원이 참가한 맞불집회를 열었다.
박정희대통령육영수여사숭모회 등 50여개 단체로 구성된 ‘대통령 탄핵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 운동본부’(이하 탄기국)는 이날 오전 헌법재판소 인근인 종로구 안국역 앞 삼일대로 일대에서 탄핵 반대 집회를 개최했다.
주최 측은 이날 집회에 100만명이 참가했다고 주장했으나 경찰은 오후 3시 기준 일시점 최다인원으로 약 3만3000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맞불집회 참가자들은 “박 대통령은 종북세력과 언론의 선동으로 억지 탄핵을 당했다”며 “좌파세력은 헌재 협박을 당장 멈추고, 헌재는 탄핵심판 기각으로 역사에 길이 남을 정의로운 심판을 내리라”고 요구했다.
엄마부대봉사단 등 다른 보수단체들도 세종문화회관 앞 세종로소공원에서 같은 성격의 집회를 열어 탄핵안을 의결한 국회를 규탄하고, 헌재에 탄핵심판을 기각하라고 촉구한 뒤 서울역으로 행진했다.
보수단체 집회에는 ‘촛불은 바람 불면 꺼진다’는 발언을 한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과 같은당 이우현 의원도 참가해 지지발언을 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서울 도심에 경비병력 228개 중대(1만8200여명)를 배치해 촛불집회와 보수단체 집회 참가자 간 충돌 방지와 안전관리에 나섰다. 행진 과정에서 양측 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으나 별다른 충돌은 없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