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인명진 식 ‘인적청산’ 놓고 갈등

    정당/국회 / 여영준 기자 / 2017-01-03 10:20:36
    • 카카오톡 보내기
    정우택, 서청원 최경환 등 자진탈당 거듭 압박
    서청원, 또 다른 독선.독주 ‘인적청산’ 중단촉구


    [시민일보=여영준 기자] 건강상의 이유로 병원에 입원했던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당 복귀 이후 활동을 시작하면서 새누리당에는 전운이 감돌고 있다.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고통 없는 개혁은 개혁이 아니다"라며 사실상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 친박 수뇌부의 자진 탈당을 거듭 압박한 반면, 당사자인 서청원 의원은 “당원들의 동의와 정당한 절차 없이 동지를 쫓아내는 것은 헌법적 가치인 정당정치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친박실세라고 하는 분들 이분들이 정말 자기희생을 통해서 계파를 청산하지 않는다면 새누리당 개혁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며 “계파주의 청산이야말로 우리 당이 고쳐야 될 가장 고질병이고 반드시 혁파해야 될 과제”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해당 의원들의 반발과 관련, “당을 깨자는 것 뿐 아니라 우리 보수체제를 무너뜨리고 가장 큰 목표인 좌파정권이 들어서는 것을 막는 역할을 송두리째 내버리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지금 인적쇄신 없이는 당이 친박당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거듭 인명진 비대위원장의 ‘인적쇄신’ 방침에 힘을 보탰다.

    하지만 서청원 의원은 "인 목사는 인적청산에 대해 '지금 누가 누구를 청산할 수 있습니까, 말이 안 되죠'라고 확실히 말했었다"며 “약속을 어겼다”고 반발했다.

    서 의원은 전날 당내 의원들에게 보내려고 준비한 '인명진 비대위원장의 인적청산에 대한 서청원 의원의 입장' 제목의 글을 통해 "내가 2주 전 직접 통화를 했다"며 그간의 과정을 소상하게 설명했다.

    서 의원은 "성직자로서 하신 말씀이기에 믿음을 가졌다"며 "우여곡절 끝에 중진의원들의 동의를 얻은 뒤 공식적이고 최종적인 교섭은 정우택 원내대표가 삼고초려를 해 모시는 절차를 밟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지난 24일 지인을 통해 인 위원장이 자신과 만나고 싶다는 연락이 와 성탄절에 조찬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그 자리에서 당내 여러 상황에 의견을 교환하는 중 인 내정자가 '인적청산에 대해 몇 사람은 책임을 질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입장을 바꿔 크게 당황스러웠다"며 "'청산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그게 무슨 이야기냐'고 반문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 자리에서 '절대 그럴 수 없다, 탈당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그대로 받아 줄 수 없다"며 "'지역구민들에게 선택받은 정치인들은 정치권에 남아 있어야 한다. 중진들은 2선 후퇴를 이미 했지 않느냐'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차피 사태가 마무리되면 제가 책임을 지고 떠날 생각이었다”며 "'맏형으로 당을 위해 제가 대표로 책임질 테니, 다른 분들은 처음 약속을 지키라', '내가 탈당하는 시기는 나에게 맡기라'고 했다"고 전했다.

    서 의원은 "인 내정자는 '그렇게 하셔야지요'라고 하며 흔쾌히 동의했다"며 "또 저에게 [대상]자 몇몇 분을 거명하며 '해당되는 분들에게 자중자애할 것을 당부해 달라'고 부탁까지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서의원은 바로 다음날인 26일 자신을 비롯한 몇 명 의원들의 실명이 거론된 인적청산 보도와 관련해 인명진 위원장이 '자신이 직접 거명한 것은 아니고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인데 말려 든 것 같다'고 다음날 새벽에 전화를 걸어왔다"고 소개했다.

    이어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전국위원회(29일)에 제가 직접 나서 마이크를 잡고 위원들을 설득하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에 위원들은 만장일치로 찬성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국위가 끝난 뒤, 그날 오후 6시 인 위원장의 측근인사와 만났다"며 "그는 대뜸 인 위원장의 뜻이라며 '대표님이 오늘이나 내일 빨리 탈당해주셨으면 좋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국회의원은 각 지역의 당원과 유권자들이 선택한 분들이다. 또 당의 자산이자 근간"이라며 "임기가 3년도 넘게 남은 국회의원들을 절차도 무시한 채 인위적으로 몰아내는 것은 올바른 쇄신의 길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제 당은 정상화돼야 한다. 인 위원장은 더 늦기 전에 당을 살리는데 앞장 서 달라. 국민이 바라는 정치혁신의 전제는 '또 다른 독선과 독주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며 인 위원장의 '친박 인적청산' 중단을 요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