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용 줄이고··· 가족수는 늘리고···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유덕열)가 올해도 '한지붕 세대공감 어르신-대학생 룸 셰어링' 사업을 연중 추진한다.
룸 셰어링은 대학생과 지역내 홀몸노인 등의 가정을 연계해 대학생에게는 저렴한 수준의 월세로 방을 제공하고 노인은 월세를 받는 1석2조의 사업이다.
앞서 구는 2015년부터 사업을 진행, 3년간 구에서 총 39쌍이 주거를 공유했다. 올해는 이달 현재 경희대, 시립대, 외대 등 대학생 6명이 학교 인근 노인가정에서 살고 있다.
비용이 저렴하다고 해서 룸 셰어링이 학생들에게만 좋은 것은 아니다.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가구에는 도배, 장판, 조명 등의 환경개선비로 최고 100만원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말벗이 되어 노인들의 적적함을 달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구 관계자는 “낯선 사람과 함께 산다는 게 선뜻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구에서도 노인과 대학생 수요자 사이 원활한 주거 매칭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어르신-대학생 룸 셰어링 대상자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며 주택을 소유한 60세 이상 홀몸, 부부노인과 서울 소재 대학(원)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학생(사이버 제외)이다.
구는 수시상담을 통해 룸 셰어링 참여를 돕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대상자들은 구 자치행정과로 연락하거나 직접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유덕열 구청장은 “룸 셰어링 사업은 단순히 거주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과 젊은 세대 간 정을 나누고 가족을 더하는 따뜻한 사업”이라며 “노인에게는 노후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의 부담도 덜어주는 일석이조의 사업인 만큼 주거 공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유덕열)가 올해도 '한지붕 세대공감 어르신-대학생 룸 셰어링' 사업을 연중 추진한다.
룸 셰어링은 대학생과 지역내 홀몸노인 등의 가정을 연계해 대학생에게는 저렴한 수준의 월세로 방을 제공하고 노인은 월세를 받는 1석2조의 사업이다.
앞서 구는 2015년부터 사업을 진행, 3년간 구에서 총 39쌍이 주거를 공유했다. 올해는 이달 현재 경희대, 시립대, 외대 등 대학생 6명이 학교 인근 노인가정에서 살고 있다.
비용이 저렴하다고 해서 룸 셰어링이 학생들에게만 좋은 것은 아니다. 사업에 참여하는 노인가구에는 도배, 장판, 조명 등의 환경개선비로 최고 100만원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말벗이 되어 노인들의 적적함을 달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구 관계자는 “낯선 사람과 함께 산다는 게 선뜻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구에서도 노인과 대학생 수요자 사이 원활한 주거 매칭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어르신-대학생 룸 셰어링 대상자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며 주택을 소유한 60세 이상 홀몸, 부부노인과 서울 소재 대학(원)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학생(사이버 제외)이다.
구는 수시상담을 통해 룸 셰어링 참여를 돕고 있다. 참여를 원하는 대상자들은 구 자치행정과로 연락하거나 직접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유덕열 구청장은 “룸 셰어링 사업은 단순히 거주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노인과 젊은 세대 간 정을 나누고 가족을 더하는 따뜻한 사업”이라며 “노인에게는 노후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들의 부담도 덜어주는 일석이조의 사업인 만큼 주거 공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