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기 대출·주가조종 혐의
성세환 회장도 소환 방침
[시민일보=이진원 기자]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는 7일 지주사 전환과정에서 시세 조종 혐의를 받고 있는 BNK금융지주 등 4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부산 남구 문현금융단지내에 소재한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 BNK증권, BNK캐피탈 등 4곳의 사무실과 성세환 BNK금융지주 회장실 등 주요 임원 사무실에 수사관을 파견해 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계열사 은행을 통해 ‘꺾기 대출’을 시행하고 자사 주가의 시세조종까지 한 의혹을 받고 있다.
세부적으로 당시 유상증자 주식 최종 발행가격의 기준이 된 1월6~8일의 주가를 인위적으로 올려 결과적으로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액을 늘렸다는 혐의다.
특히 시세조종에는 최근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검찰 수사 중인 엘시티 시행사의 임원도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수사가 지난달 말 금감원의 고발로 수사에 착수한 검찰이 금감원으로부터 넘겨받은 자료 분석을 끝내고 추가로 혐의 입증에 필요한 관련 자료를 확보하려고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 분석을 끝내는 대로 성 회장 등을 소환해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부산지검 특수부는 지난해 8월 부산은행을 압수 수색한 이후 엘시티 사업 대출 과정에 부정이 있었는지 면밀히 추적해 왔다.
BNK금융은 2015년 9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 BNK캐피탈 등 계열사를 동원해 엘시티 사업에 1조15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약정했으며, 분양이 지지부진하면 추가로 자금을 대출해주기로 이면 약정까지 했다는 의혹도 함께 제기된 바 있다.
성세환 회장도 소환 방침
[시민일보=이진원 기자]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는 7일 지주사 전환과정에서 시세 조종 혐의를 받고 있는 BNK금융지주 등 4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부산 남구 문현금융단지내에 소재한 BNK금융지주와 부산은행, BNK증권, BNK캐피탈 등 4곳의 사무실과 성세환 BNK금융지주 회장실 등 주요 임원 사무실에 수사관을 파견해 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계열사 은행을 통해 ‘꺾기 대출’을 시행하고 자사 주가의 시세조종까지 한 의혹을 받고 있다.
세부적으로 당시 유상증자 주식 최종 발행가격의 기준이 된 1월6~8일의 주가를 인위적으로 올려 결과적으로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액을 늘렸다는 혐의다.
특히 시세조종에는 최근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검찰 수사 중인 엘시티 시행사의 임원도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수사가 지난달 말 금감원의 고발로 수사에 착수한 검찰이 금감원으로부터 넘겨받은 자료 분석을 끝내고 추가로 혐의 입증에 필요한 관련 자료를 확보하려고 압수수색을 벌인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 분석을 끝내는 대로 성 회장 등을 소환해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부산지검 특수부는 지난해 8월 부산은행을 압수 수색한 이후 엘시티 사업 대출 과정에 부정이 있었는지 면밀히 추적해 왔다.
BNK금융은 2015년 9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 BNK캐피탈 등 계열사를 동원해 엘시티 사업에 1조15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약정했으며, 분양이 지지부진하면 추가로 자금을 대출해주기로 이면 약정까지 했다는 의혹도 함께 제기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