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진원 기자]경찰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인용된 직후인 지난 10~11일 이틀간 탄핵 찬반집회에서 불법행위 21건을 적발하고, 그에 연루된 16명을 수사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탄핵이 인용된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한 식당 2층에서는 집회 참여자들이 취재를 준비하던 기자들을 폭행하는 일이 발생했다.
같은날 탄핵 반대집회 현장에서 정 모씨(65)가 경찰 버스에 난입해 시동을 걸고, 차벽차량을 들이받았으며, 차벽차량에 설치된 스피커가 떨어져 다른 참가자를 덮쳐 사망하게 하는 일도 발생했다.
다음날인 11일에는 탄핵 반대집회 참가자 4명이 파출소 앞에서 경찰의 시위용품 회수에 반발해 인화물질로 경찰을 위협한데에 따라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검거됐으며, 이들 중 한명에게는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한편 경찰은 탄핵 선고 직후를 포함해 지난해 10월29일 박 전 대통령 퇴진 촉구 1차 주말 촛불집회 시작 이후부터 3월11일까지 탄핵 찬반집회에 양측에서 불법행위 67건을 확인, 87명을 수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술에 취한 채 우발적으로 범행했거나 소속 단체, 참가한 집회 등을 진술하지 않은 피의자들이 있어 수사 대상 중 찬반 양측을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탄핵이 인용된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한 식당 2층에서는 집회 참여자들이 취재를 준비하던 기자들을 폭행하는 일이 발생했다.
같은날 탄핵 반대집회 현장에서 정 모씨(65)가 경찰 버스에 난입해 시동을 걸고, 차벽차량을 들이받았으며, 차벽차량에 설치된 스피커가 떨어져 다른 참가자를 덮쳐 사망하게 하는 일도 발생했다.
다음날인 11일에는 탄핵 반대집회 참가자 4명이 파출소 앞에서 경찰의 시위용품 회수에 반발해 인화물질로 경찰을 위협한데에 따라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검거됐으며, 이들 중 한명에게는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한편 경찰은 탄핵 선고 직후를 포함해 지난해 10월29일 박 전 대통령 퇴진 촉구 1차 주말 촛불집회 시작 이후부터 3월11일까지 탄핵 찬반집회에 양측에서 불법행위 67건을 확인, 87명을 수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술에 취한 채 우발적으로 범행했거나 소속 단체, 참가한 집회 등을 진술하지 않은 피의자들이 있어 수사 대상 중 찬반 양측을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