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ㆍ계층별 인구 변화 분석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최근 서울 은평구(구청장 김우영)가 인구를 연령 계층별로 분석해 시각적 요소를 더한 ‘은평 인포그래픽스 2호’를 제작·발표했다.
발표된 내용을 살펴보면 구의 인구는 2013년 최고치를 기록하다 2014년 이후부터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가구수는 증가세로 나타났다.
또 0~14세 유소년 인구수는 매년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3년까지 증가하다 2014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말 기준 7만1304명으로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고령인구 비율도 14.5%로 유엔 보고서의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넘어섰다. 이는 서울시 평균 13.0%보다도 높은 수치다.
특히 생산가능(15~64세)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수를 나타내는 부양비에서도 유소년 부양비는 15.9명, 노인 부양비는 19.7명로 나타나 생산가능 인구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인구변화를 분석해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노인인구 증가 등에 따른 다양한 사회변화와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의 구정 운영 방침을 밝혔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최근 서울 은평구(구청장 김우영)가 인구를 연령 계층별로 분석해 시각적 요소를 더한 ‘은평 인포그래픽스 2호’를 제작·발표했다.
발표된 내용을 살펴보면 구의 인구는 2013년 최고치를 기록하다 2014년 이후부터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가구수는 증가세로 나타났다.
또 0~14세 유소년 인구수는 매년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3년까지 증가하다 2014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말 기준 7만1304명으로 서울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고령인구 비율도 14.5%로 유엔 보고서의 ‘고령사회’ 기준인 14%를 넘어섰다. 이는 서울시 평균 13.0%보다도 높은 수치다.
특히 생산가능(15~64세)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수를 나타내는 부양비에서도 유소년 부양비는 15.9명, 노인 부양비는 19.7명로 나타나 생산가능 인구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인구변화를 분석해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노인인구 증가 등에 따른 다양한 사회변화와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의 구정 운영 방침을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