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조길형)가 오는 4월25일까지 ‘희망두배 청년통장’, ‘꿈나래 통장’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구에 따르면 이번 통장사업은 저소득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문제와 학자금 대출문제, 결혼 및 육아문제 등의 다양한 금전문제 해결과 자본형성, 자립의지 등을 돕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먼저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만 18~34세의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월 5만·10만·15만원을 2년 또는 3년간 저축하면 저축액 대비 100%의 추가지원금을 받게 된다.
신청대상은 본인의 소득액 200만원 이하이며, 부양의무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4인가족 기준 357만원)인 경우다.
또 ‘꿈나래 통장’은 저소득 가구가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 교육자금을 저축하는 통장이며, 3~5년을 저축하면 저축액의 1.5~2배 이상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기초수급자의 경우 매월 5만·7만·10만원을 3년 또는 5년 저축하면 저축액의 100%를, 비수급자는 5만·7만·10만·12만원을 3년 또는 5년 저축하면 저축액의 50%를 적립해준다.
신청대상은 만 18세 이상 서울시 거주자이며,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 이하면서 만 14세 이하 아동의 부모이면 신청가능하다.
다만 통장사업 참가 신청시 ▲가구부채가 5000만원 이상인 가구 ▲기존 희망플러스·꿈나래·청년 통장 등 시에서 추진 중인 통장사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했던 가구 ▲보건복지부 추진 자립지원사업(희망키움통장Ⅰ·Ⅱ, 내일키움통장)의 참여 및 수혜 가구는 참여가 제한된다. 단 디딤씨앗통장 참여가구는 중복가입이 가능하다.
앞으로 구는 기한내 접수한 신청자를 대상으로 자산조사를 비롯한 서류심사, 면접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각 통장 사업별 최종합격자를 발표하며, 최종 선정된 55명은 약정 체결과 통장 개설 후 오는 9월께 첫 저축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구는 모든 재원은 시가 재원의 60%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민간후원금으로 조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구는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연간 1회 이상의 금융교육을 통해 자산관리와 재무설계, 합리적인 금융소비와 가치선택 등의 일상생활에 유익한 금융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구청 복지정책과와 각동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조길형 구청장은 "이번 통장 사업이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할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많은 주민의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구에 따르면 이번 통장사업은 저소득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문제와 학자금 대출문제, 결혼 및 육아문제 등의 다양한 금전문제 해결과 자본형성, 자립의지 등을 돕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먼저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만 18~34세의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월 5만·10만·15만원을 2년 또는 3년간 저축하면 저축액 대비 100%의 추가지원금을 받게 된다.
신청대상은 본인의 소득액 200만원 이하이며, 부양의무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4인가족 기준 357만원)인 경우다.
또 ‘꿈나래 통장’은 저소득 가구가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 교육자금을 저축하는 통장이며, 3~5년을 저축하면 저축액의 1.5~2배 이상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기초수급자의 경우 매월 5만·7만·10만원을 3년 또는 5년 저축하면 저축액의 100%를, 비수급자는 5만·7만·10만·12만원을 3년 또는 5년 저축하면 저축액의 50%를 적립해준다.
신청대상은 만 18세 이상 서울시 거주자이며,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 이하면서 만 14세 이하 아동의 부모이면 신청가능하다.
다만 통장사업 참가 신청시 ▲가구부채가 5000만원 이상인 가구 ▲기존 희망플러스·꿈나래·청년 통장 등 시에서 추진 중인 통장사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했던 가구 ▲보건복지부 추진 자립지원사업(희망키움통장Ⅰ·Ⅱ, 내일키움통장)의 참여 및 수혜 가구는 참여가 제한된다. 단 디딤씨앗통장 참여가구는 중복가입이 가능하다.
앞으로 구는 기한내 접수한 신청자를 대상으로 자산조사를 비롯한 서류심사, 면접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각 통장 사업별 최종합격자를 발표하며, 최종 선정된 55명은 약정 체결과 통장 개설 후 오는 9월께 첫 저축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구는 모든 재원은 시가 재원의 60%를 부담하고, 나머지는 민간후원금으로 조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구는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연간 1회 이상의 금융교육을 통해 자산관리와 재무설계, 합리적인 금융소비와 가치선택 등의 일상생활에 유익한 금융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구청 복지정책과와 각동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조길형 구청장은 "이번 통장 사업이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할 든든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많은 주민의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