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최성일 기자] 국민연금공단 부산지역본부는 2016년 부산·울산·경남 지역 국민연금 주요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6년에 부산에 1조4200억원, 울산에 4600억원, 경남에 1조2000억원 등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3조1000억원에 달하는 연금을 지급했다.
또한 2016년 12월을 기준으로 부산은 35만2000명, 울산은 8만8000명, 경남은 31만7000명이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적으론 436만명이다.
향후 몇 년간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와 맞물려 국민연금 수급자수 및 지급연금액 규모는 엄청난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로 제도가 도입된 지 30년밖에 되지 않은 관계로 공무원연금 등에 비해 연금액이 적어 용돈연금이라는 오명을 받았는데, 월연금액을 기준으로 부산에도 190만원을 받는 사람이 나와 국민연금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동래구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해 12월을 기준으로 190만2000원을 받고 있으며, 울산 중구에 거주하는 B씨는 179만원, 경남 사천에 거주하는 C씨는 180만원을 받아 부산·울산·경남에서 최고 연금액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국 최고 연금액은 경북 포항에 거주하는 D씨가 193만원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년 전인 2014년 12월과 비교하면 수급자수는 약 14만명(22.8%↑), 월지급액 또한 444억원(20.8%↑)이 증가했다.
울산·창원과 거제지역은 전통적으로 대규모 제조업체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고소득 근로자가 장기간 가입했던 결과 국민연금 평균액이 높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르면 2016년에 부산에 1조4200억원, 울산에 4600억원, 경남에 1조2000억원 등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3조1000억원에 달하는 연금을 지급했다.
또한 2016년 12월을 기준으로 부산은 35만2000명, 울산은 8만8000명, 경남은 31만7000명이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적으론 436만명이다.
향후 몇 년간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와 맞물려 국민연금 수급자수 및 지급연금액 규모는 엄청난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로 제도가 도입된 지 30년밖에 되지 않은 관계로 공무원연금 등에 비해 연금액이 적어 용돈연금이라는 오명을 받았는데, 월연금액을 기준으로 부산에도 190만원을 받는 사람이 나와 국민연금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동래구에 거주하는 A씨는 지난해 12월을 기준으로 190만2000원을 받고 있으며, 울산 중구에 거주하는 B씨는 179만원, 경남 사천에 거주하는 C씨는 180만원을 받아 부산·울산·경남에서 최고 연금액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국 최고 연금액은 경북 포항에 거주하는 D씨가 193만원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년 전인 2014년 12월과 비교하면 수급자수는 약 14만명(22.8%↑), 월지급액 또한 444억원(20.8%↑)이 증가했다.
울산·창원과 거제지역은 전통적으로 대규모 제조업체가 다수 존재하고 있어 고소득 근로자가 장기간 가입했던 결과 국민연금 평균액이 높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