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현 용산구청장 아들 특혜채용 의혹 도마 위

    사건/사고 / 고수현 / 2017-05-01 17:32:05
    • 카카오톡 보내기
    전산시스템 변경준비도 없이 무리한 선정...혈세낭비 지적도
    신한은행·용산구, 관련 의혹 부인...심의위 결정에 따랐을 뿐


    [시민일보=고수현 기자]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아들, 문준용씨의 한국고용정보원 특혜 채용이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14년 당시 신한은행이 용산구청 구 금고 운용권 입찰을 따낸 배경에 성장현 용산구청장 아들 채용 연루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시사포커스 등이 보도한 신한은행 내부자들이 금감원 산하의 '정부합동부정부패센터'에 제보한 문건에 따르면, 성장현 구청장 차남 성 모씨는 2011년 1월 '2010년 신한은행 하반기 정규직 공채'를 통해 입사했고 같은해 2월 신한은행이 용산구 제 2금고(40여억원 규모의 세금납무와 입출금 업무)를 신규 유치한 이후 용산구 이태원 지점으로 발령이 났다. 이어 2014년 7월 성씨가 서초동 지점으로 옮겨간 이후인 12월엔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신한은행이 용산구 제1금고(1000억대 기금관리)지기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신한은행의 구 금고 운영권과 성 구청장 차남의 신한은행 입사 사이에 연관 관계가 있지 않았느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신한은행 관계자는 "정상적인 채용 절차였다"며 관련 의혹을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성씨는 성 구청장이 취임하기 전 인턴으로 입사, 3개월간 근무한 바 있고 근무 당시 금융권에서 일하기를 본인이 희망했었다"며 "이후 정규직 공채를 거쳐 신한은행에 입사를 했을 뿐. 특혜채용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한 신한은행이 당시 전산시스템 변경에 대한 대비 없이 100년 동안 지속돼 온 우리은행의 아성을 깨는 과정에서 혈세가 새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입찰 당시 우리은행이 9억2000만원을 출연금으로 제시한데 반해 신한은행은 17억 5000만원이라는 다소 파격적인 금액을 제시했으나 용산구청이 신한은행과의 구금고 운용계약을 위해 전산시스템 사용료 일부인 8000만원을 매년 우리은행 측에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용산구의회 박희영 의원은 1일 "박원순 서울시장과 성장현 용산구청장 그리고 우리은행장과 신한은행장이 함께 한 자리에서 우리은행 전산시스템 대여 비용이 결정됐지만 이후 과정을 보면 이 마저도 석연치 않다"며 "신한은행이 3억2000만원을 부담하는 건 사기업이니까 그렇다쳐도 혈세로 매년 지급되는 8000만원에 대해서는 그 근거가 보다 명확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박 의원은 "신한은행 한남동 지점에 해당 전산시스템 업무를 대행해주는 우리은행 직원에 대한 인건비를 구청이 지불하고 있는 셈"이라며 "중요한 계약위반 사항이 아니냐"고 따져물었다.

    이어 "서울 25개 구 금고 중에서 우리은행이 아닌 구금고를 이용하는 곳은 용산구 밖에 없다"며 "향후 다른 구에서 구 금고 변경 시 용산구가 선례가 되어 일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지를 두고 문제제기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특히 "용산구의 구 금고 변경으로 여러가지 불합리한 점이 야기되고 있다"며 "8억3000만원 정도의 기여금 차이가 있으니 구청으로선 손해가 아니라고 하지만 매년 시(1억원)와 구(8000만원)에서 지급하는 액수를 생각하면 계약기간 연장 정도에 따라 막대한 혈세 낭비가 불가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구 관계자는 "신한은행 구 금고 선정은 용산구금고선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된 것"이라며 "기관의 신용도와 안정성, 구에 대한 대출 및 예금금리, 이용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만큼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다만 당시 구금고선정위원회의 심사 문건 공개 요구에 대해서는 불가입장을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